오송역세권 민자유치 공모…세번째는 성공할까
입력 2013-07-31 16:49
[쿠키 사회] 올해 두 차례 민간자본 유치 실패로 벽에 부딪혔던 충북 오송 역세권 개발사업이 중대기로에 서게 됐다. 8월까지 민간 사업자를 모집하지 못할 경우 사실상 사업 추진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31일 충북도에 따르면 충북개발공사가 8월 민자 유치를 위한 공모 절차에 나선다. 민간 투자자는 3100억원에 달하는 사업비 중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할 51% 외의 자본을 출자해야 한다.
개발공사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에 전액 민자출자 방식으로 2차례 공모했으나 투자 업체는 나서지 않았다.
이에 따라 개발공사는 지자체가 51%, 민간 투자자가 49% 출자하는 공영개발방식으로 전환해 3번째 공모 절차에 나선 것이다.
개발공사는 필요할 경우 민간 업체를 대상으로 투자설명회를 연다는 계획도 세워두고 있다.
그러나 건설업계와 금융권 등은 개발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투자 의향을 내비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한 금융투자자는 최근 도에 보낸 이메일을 통해 “당분간 오송 현지 답사 계획은 없다”는 답변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시종 지사는 지난달 미국 출장기간에 이 회사 대표를 직접 만나 투자를 논의하기도 했다. 중국의 투자사도 구체적 투자 이행을 위한 움직임이 없는 상태이다.
오송역세권의 조성 원가는 3.3㎡당 297만원으로 인근에 위치한 세종시의 조성원가가 210만원보다 개발 조건이 불리하다. 결국 비싼 땅값이 오송역세권 개발의 발목을 잡고 있다.
문제는 이번 공모 때 민간 투자자가 나서지 않을 경우 역세권 개발사업은 사실상 폐지 위기에 처할 수 있다. 오는 12월 29일까지 민자를 확보 못하면 도시개발구역에서 자동 해제돼 오송 역세권 개발 계획은 없던 일이 된다.
고세웅 도 바이오산업국장은 “아직 투자 의사를 밝힌 업체가 없다”며 “이번 공모 때 민간 투자자를 확보하지 못하면 사업 포기가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청주=국민일보 쿠키뉴스 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