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노믹스 실패땐 2008년 금융위기 수준 치명타”

입력 2013-07-30 18:00


경기부양을 위해 막대한 돈을 시중에 풀어놓은 일본 아베노믹스가 실패하면 세계 경제가 2008년 금융위기 수준의 충격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아베노믹스 붕괴가 미국 사상 최대 규모 기업 도산 사태였던 리먼브러더스 파산만큼 치명적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9일(현지시간) 유럽 경제가 침체되고 중국 경기가 둔화되는 상황에서 아베노믹스가 성공하면 일본이 세계 경제의 성장 동력으로 재부상할 수 있지만 실패하면 세계 경제에 충격을 줄 것이라고 진단했다.

루비니글로벌이코노믹스(RGE)의 수석경제연구원 마이클 마네타는 “아베노믹스는 상당한 충격 가능성을 안고 있다”며 “자본시장 측면에서는 리먼브러더스 사태 이후 상황과 비슷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RGE는 비관적 경제 전망을 주로 내놓는 탓에 ‘닥터 둠’으로 불리는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스턴경영대학원 교수가 설립한 경제 분석기관이다.

일본의 경기부양책을 지지했던 국제통화기금(IMF)도 최근 세계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새로운 최대 위험요인 중 하나로 아

베노믹스 실패 가능성을 꼽았다. 아베노믹스가 제대로 굴러가지 않거나 전복되면서 벌어질 상황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국내총생산(GDP)의 2.5배에 달하는 국가 부채를 일본 경제의 최대 불안 요인으로 본다. 미국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등 다른 세계 주요국과 비교해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WSJ는 이런 부채 규모를 일본에서 가장 높은 후지산에 비유했다.

투자자들은 그동안 초저금리가 계속되자 일본 국채를 꾸준히 사들였다. 이들은 일본이 저성장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일본 정부의 부채 상환 능력을 의심하게 된다는 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이 경우 국채 금리가 올라 일본 정부는 빚을 감당하기 더 어려워진다. IMF 수석 경제연구원 올리비에르 블랑샤드는 “투자자들이 일본 채무의 지속성을 우려하면 더 높은 이자를 요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동안 일본 부채 문제가 심각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은 일본 국채의 95% 정도를 일본인이 사들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일본 국채 시장은 포화상태에 도달한 데다 3∼4년 뒤 베이비붐 세대가 대거 은퇴하면 가계 저축도 급감해 일본인이 국채를 사들일 여력이 줄어든다.

WSJ는 일본이 계속 성장하려면 아베노믹스의 ‘세 번째 화살’인 대대적 경제구조 개혁을 단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