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대표회담 ‘달’ 넘겼다… 실무접촉서 ‘접점’ 못찾아

입력 2013-07-29 18:00 수정 2013-07-29 22:25

새누리당과 민주당이 29일 서해 북방한계선(NLL) 논란을 끝내기 위한 여야 대표회담을 추진했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해 8월 초로 연기됐다. 양측은 실무접촉을 더 이어간다는 방침이지만 의제 등을 놓고 진통이 예상된다.

새누리당 황우여, 민주당 김한길 대표 측은 비서실장들이 전화 접촉을 갖는 등 회담 의제와 시기를 저울질했다. 그러나 회동 일정을 잡지는 못했다.

황 대표는 오후에 기자들과 만나 “(폴란드 출장) 갔다 와서 회담이 될 것 같다”며 “여야 대표들끼리는 좀 이야기가 됐는데 대통령도, 여당 원내대표도 중요한 사람들이 휴가 중이라 (회담할 때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황 대표는 30일 폴란드로 출국해 국제의원연맹 회의를 주재한 뒤 다음달 4일 귀국한다. 그는 “씨앗을 심고 매일 들여다보면 아무것도 못 한다”며 “조금 시간을 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자신이 유럽 출장을 다녀오는 동안 여야 실무진이 물밑 접촉을 계속하다 보면 진전이 있지 않겠느냐는 뜻이다.

그러나 이날 실무접촉 결과를 고려하면 전망이 그리 밝지만은 않다. 가장 큰 이유는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 실종 사건에 대한 검찰 수사와 특검 도입을 둘러싼 양측 입장차 때문이다. 민주당은 대표 회동을 통해 새누리당이 단독 고발한 검찰 수사의 철회와 특검 도입을 요구했고 이에 대해 새누리당은 난색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 노웅래 대표비서실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일방적으로 검찰에 고발한 부분이 시정돼야 하고, 김 대표가 여야 합의로 수사를 의뢰하자고 한 것에 대해 여당이 협의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또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 논란을 종결하는 방식과 관련해 “사전·사후 부속자료를 열람하자”는 민주당과 “부속자료와 함께 국가정보원 음원 파일을 동시에 열람해야 한다”는 새누리당 주장이 팽팽히 맞서 있다.

민주당은 황 대표가 당초 검찰 수사 철회와 특검 실시 여부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지만 당내 입장을 조율하지 못하면서 성과가 나지 않고 있다는 불만이다. 김 대표 측 관계자는 “황 대표가 대표 회담을 제안하기 전 어느 정도 우리 측과 물밑 조율이 돼 있었다”며 “그러나 실무접촉이 본격화되자 새누리당 내부에서 계속 입장이 오락가락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황 대표 측 관계자는 “민주당이 강경파를 설득하지 못해 진도가 안 나간다”고 반박했다.

새누리당 일각에서는 원내대표가 나서야 할 문제에 당 대표가 나서고 있다는 지적이, 민주당에서는 대표 회담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엄기영 정건희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