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日총리 ‘이중플레이 외교’

입력 2013-07-28 18:53

참의원 선거 압승 후 동남아 국가를 돌며 개헌과 집단적 자위권행사를 위한 여론몰이를 하고 있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한편으론 한국, 중국과의 정상회담 희망을 피력하는 이중플레이를 하고 있다.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총리 취임 후 두 번째 동남아 순방에 나선 아베 총리는 지난 26일 싱가포르에서 리셴룽 총리와 가진 정상회담에서 헌법 개정 및 집단적 자위권 행사와 관련한 논의 상황을 설명하고 이해를 구했다. 아베 총리는 일본이 개헌을 하더라도 평화주의, 국민 주권, 기본적 인권을 견지한다는 점을 설명했다.

집단적 자위권 행사 용인 문제에 대해서는 국제사회 전체의 안보 환경 변화를 바탕으로 일본의 안전을 확보하고 미·일동맹과 지역의 평화·안정에 공헌해 나가는 관점에서 추진할 것임을 밝혔다.

아베 총리는 27일 베니그노 아키노 필리핀 대통령과 가진 정상회담에서도 이 같은 입장을 설명했다. 그는 같은 날 마닐라에서 가진 동남아 순방 결산 기자회견에서도 헌법상 금지돼 있는 집단적 자위권 행사가 가능하도록 “검토하겠다”고 명언하면서 이러한 입장을 동남아 정상들에게 설명하고 이해를 요청했다고 강조했다.

아베 총리는 한편으론 한·중과의 정상회담 희망을 피력하기도 했다.

그는 지난 26일 싱가포르에서 행한 강연에서 한국에 대해 “일본과 더불어 미국의 동맹국으로 지역 안보의 토대를 이루는 관계이며 경제도, 문화도 함께 걸어가는 관계”라고 규정한 뒤 “정상 간, 외무장관 간에 흉금을 터놓고 대화하길 염원한다”고 말했다. 또 “일본에 중요한 이웃 나라인 중국의 정상과 친근하게 대화할 날을 기대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27일 필리핀에서도 기자회견을 통해 비슷한 얘기를 했다.

연이틀 한국, 중국과의 정상회담을 거론했다는 점에서 ‘작심 발언’일 가능성이 높다는 게 외교가의 인식이다. 정상회담을 거론한 아베 총리의 진정성은 한국의 광복절이자 일본의 패전일인 다음 달 15일이 지나봐야 판단이 가능할 전망이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