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록 실종’ 수사, 참여정부 인사 겨누는데… 檢, 문재인은 어떻게?

입력 2013-07-28 23:37 수정 2013-07-28 23:40


검찰이 새누리당이 고발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실종 사건과 관련해 김만복 전 국가정보원장 등을 출국금지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노무현정부 출신 인사들이 촉각을 세우고 있다. 특히 정치권에서는 민주당 문재인 의원의 검찰 조사 여부가 관심사로 떠올랐다.

검찰 수사가 본격화되면 대화록 관리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노무현정부 인사들이 대거 조사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이던 문 의원이 조사 대상이 될 수도 있다는 얘기도 있다.

하지만 문 의원 조사는 그의 상징성 때문에 그리 간단하지 않다. 제1야당 대선 후보를 검찰에서 부를 경우 야당 탄압으로 비칠 수 있다. 또 노 전 대통령이 검찰 조사를 받다 서거했기 때문에 ‘노무현의 분신’인 문 의원이 조사받으면 야권 지지자들을 자극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 노 전 대통령 측부터 문 의원 조사에 부정적이다. 노 전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는 28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기록물 이관과 무관한) 문 의원이 조사 대상이 될 수 있겠느냐”고 대상 자체가 아님을 강조했다. 또 다른 인사들의 검찰 출두 여부도 “민주당 지도부가 검찰 수사 대신 특검을 요구하고 있어 지도부와 협의해 출두를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정황에 비춰 검찰이 문 의원을 조사하지 않거나 하더라도 서면조사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문 의원은 27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 노무현재단 행사에 참석해 인사말을 통해 “요즘 제가 공격받아 걱정하실 텐데 걱정할 것 없다”며 “뭐가 옳은지 확신이 있어 이 정도로 흔들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여권이) 국가정보원 선거개입, 정상회담 대화록, 서해 북방한계선(NLL) 진실 등을 다 덮고 있다”며 “얼핏 보면 상황을 돌파한 것처럼 보여도 국민 마음속엔 하나하나 차곡차곡 쌓여갈 것”이라고 했다. 부산이 지역구인 문 후보는 28일 오후 부산에서 열린 민주당 부산·울산·경남 지역 당원보고대회에 참석하지 않아 최근 자신을 향해 책임론을 제기한 지도부에게 불만을 표출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됐다.



손병호 정건희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