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르익는 黃-金 회동… 꽉막힌 ‘NLL 정국’ 출구 찾을까
입력 2013-07-28 17:50 수정 2013-07-28 23:36
[뉴스분석] 황 대표, 만남 제안 금명간 성사될 듯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와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서해 북방한계선(NLL) 정국을 풀기 위한 긴급 회동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답답한 NLL 정국을 끝내려는 두 대표의 의지가 강해 회동이 성사될 가능성은 높지만, 정치적 이해관계가 복잡해 뚜렷한 성과를 낼지는 미지수다.
황 대표는 27일 판문점을 방문한 자리에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실종 사태와 NLL 포기 논란 등 모든 정치현안을 주제로 여야 대표회담을 갖자고 제안했다. 민주당은 “심도 있게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의견 조율이 잘 된다면 황·김 대표는 29일 또는 30일 회동할 것으로 보인다. 황 대표는 국제의회연맹 회의를 주재하기 위해 31일 폴란드로 출국해 다음 달 4일 귀국한다. 새누리당 여상규 대표 비서실장은 28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내일(29일) 민주당 노웅래 대표 비서실장과 만나 (일정 및 의제를) 조율하기로 했다”며 “여러 가능성을 열어 두고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와 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가 지난주 각각 “NLL 정쟁 중단”과 “NLL 논란 영구 종식”을 제안한 만큼 양당 대표가 ‘묘수’를 찾을 경우 출구전략이 나올 수 있다.
그러나 두 대표가 만나서 주고받을 수 있는 ‘선물’에 한계가 있다는 데 어려움이 있다. 우선 대화록 실종 사태의 경우 민주당 반대에도 불구하고 새누리당이 단독 고발해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이다. 검찰은 참여정부 관련 인사들을 출국 금지시키며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현실적으로 황 대표가 검찰 수사를 중지시키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렇다면 황·김 대표가 만나 NLL 논쟁이라도 끝내야 하는데 양당 강경파의 입김이 강하다. 민주당은 “정상회담 사전·사후 부속문서를 열람해야 한다”는 주장이고, 새누리당은 “부속문서를 보려면 국정원 녹음파일을 함께 열람·공개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국가기록원이 국회에 제출한 사전·사후 부속문서는 28일까지가 열람기한이었으나 여야는 아직 열람하지 않은 점을 고려해 당분간 국회에 더 두기로 했다.
때문에 두 대표가 회동할 경우 ‘NLL 논쟁 종식’을 한목소리로 촉구하는 선언적 의미에 그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후 어느 정도 냉각기간을 거친 뒤 최·전 원내대표가 만나 부속문서 열람 및 녹음파일 공개 여부 등 세부사안을 놓고 최종 담판을 짓지 않겠느냐는 관측이다. 만일 황·김 대표가 선언적 수준을 넘는 결과물을 원한다면 대표 회담 자체가 8월로 연기될 가능성이 크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