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입주 업체 표정 “정치논리에 기업은 생사 기로… 암담”
입력 2013-07-26 18:22 수정 2013-07-27 01:32
개성공단 사태 해결을 위한 남북 당국 간 실무회담이 결렬됐다는 소식이 알려진 뒤 개성공단 입주기업 관계자들은 참담한 심정을 감추지 못했다.
개성공단 정상화 촉구 비상대책위원회는 26일 문제 해결을 논의하기 위해 두 차례에 걸쳐 통일부를 방문했다. 김남식 통일부 차관을 만난 자리에서 이들은 개성공단 정상화와 관련한 4대 요구사항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4대 요구사항은 개성공단 유지에 대한 정부의 명확한 입장, 주재원과 국내 지원인력의 생존권 보장 방안 마련, 경협보험금의 신속한 집행, 피해실태 조사결과에 따른 실효성 있는 긴급 대출 등이다. 비대위는 면담이 끝난 직후 회의를 갖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한상권 비대위 공동대표위원장은 “정부 측의 답변을 들은 뒤 대응방안을 결정할 것”이라며 “오는 30일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입주기업들의 입장 발표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개성공단 기업인들은 지난 6일부터 여섯 차례에 걸쳐 남북이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실무회담을 열었지만 결실을 맺지 못한 것과 관련해 허탈감과 분노를 드러냈다. 지난 4월 개성공단 사태로 공장 가동이 중단된 입주기업인에겐 이번 실무회담이 마지막 보루였기 때문이다.
특히 남북 양측이 책임공방만 벌일 뿐 이렇다 할 결론을 내놓지 못한 데 대해 실망감을 드러냈다.
한 기업 관계자는 “그나마 회담이 재개돼 기대감이 컸었는데 실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이 기업은 회담이 결렬되자 임원회의를 통해 이달 말로 직원들을 모두 내보내기로 결정했다. 개성공단이 정상화되더라도 돌아갈 수 없을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회사 대표는 “공단이 정상화될 때까지 직원들을 잡기 위해 기존 봉급의 70% 정도를 줬다”면서 “이제는 그럴 이유가 없어졌다. 정부는 기업을 죽였고 한 가정의 가장이었던 직원들을 거리로 내쫓은 것”이라고 한탄했다.
대부분의 입주기업들도 연내 정상화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또 다른 기업 관계자는 “정부는 회계법인까지 동원해 피해 상황을 조사해 갔는데 지급을 신청한 남북경협보험금조차 나오지 않았다”며 “더 이상 시간이 없다”며 정부의 신속한 대응을 요구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