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뿐인 영광’ 2019 세계수영선수권… 정부 보증서 위조 파문의 해법은?
입력 2013-07-26 15:08
[쿠키 사회] 2019세계수영선수권대회 유치 과정에서 불거진 광주시의 ‘정부 보증서 위조’ 파문이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정부는 검찰수사를 의뢰하는 등 광주시를 전방위로 압박하는 모양새다. 향후 대회를 개최해도 재정지원은 없다는 ‘최후통첩’도 했다. 광주시는 개최지 결정을 불과 몇 시간 앞두고 보증서 위조 사실을 뒤늦게 공표한 정부가 야속하다는 눈치다.
인천시는 국무총리 서명이 아니라 대통령 동영상까지 조작해 아시안게임을 유치했어도 그냥 넘어갔다고 볼멘소리다. 우여곡절 끝에 대회유치에 성공한 광주시유치대표단이 ‘상처뿐인 영광’을 안고 21일 오후 귀국한 뒤 광주시청은 초상집이나 다름없는 침통한 분위기다.
정부의 엄중처벌 의지에 따라 수사에 나선 검찰은 26일 광주시청과 유치위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는 등 진실을 밝혀내기 위한 절차에 들어갔다. 광주시 담당공무원의 단순한 업무실수인지 아니면 정부가 언급한 것처럼 중대한 범죄행위를 저질렀는지 가려내겠다는 의도다.
이번 사건을 바라보는 광주시민들의 마음은 편치 않다. 새 정부 출범 직후 민중가요 ‘임을 위한 행진곡’의 5·18 기념곡 제정을 둘러싸고 갈등을 벌였다가 미운털이 박혔기 때문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어서다. 한쪽에서는 휴전선 철책을 지키는 이등병이 잘못을 했더라도 때로는 사단장이 책임져야 한다며 ‘수뇌부 사퇴론’을 제기하고 있다.
하지만 시민들이 속상해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다른 데 있다. 정부와 광주시의 힘겨루기가 아버지와 아들이 서로 치고 박고 싸우는 집안싸움과 뭐가 다르냐는 것이다.
이래저래 국가의 신뢰도는 이미 상처를 입었다. 해법은 간단하다. 2인3각 경기를 한다는 각오로 세계수영선수권대회를 둘러싼 반목과 파문을 서둘러 봉합해야 한다.
칼자루를 쥔 정부는 검찰의 사법적 판단에 공을 넘긴 만큼 소모적 논쟁을 자제해야 마땅하다. 광주시는 아버지에게 회초리를 맞는 심정으로 대회 유치과정의 전말을 투명하게 공개하면 된다.
2019세계수영선수권대회가 무산되면 국제적 망신을 사게 되는 등 모든 피해는 광주시민뿐 아니라 국민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간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광주=국민일보 쿠키뉴스 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