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재산 추적] 검찰·국세청 자료 요구량 방대… 금융사들, 전씨 불똥 튈까 우려
입력 2013-07-25 18:04
전두환 전 대통령의 비자금을 찾기 위한 검찰의 금융 추적 작업이 급박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달 초 본격 추적 작업에 착수한 검찰은 최근 들어서는 거의 매일 은행과 증권 등에 압수수색영장을 쏟아내고 있어 수사가 상당 부분 진행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검찰이 지금까지 시중은행에 금융계좌추적용 압수수색영장을 보내 계좌 정보를 확보한 사람은 전 전 대통령의 친인척과 측근 등 50여명에 달한다. 이달 초 처음 소수 인원에 대한 계좌 정보를 요청한 뒤 불과 20일 만에 리스트가 급증했다. 특히 최근에는 기존에 계좌 정보를 확보했던 동일인의 다른 계좌, 특정 기간 동안의 입출금 내역 및 연결계좌 정보 등을 구체적으로 요구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최근 검찰이 압류한 우리은행 등 전 전 대통령 일가의 대여금고 7개의 존재도 드러났다.
이순자씨가 NH농협생명을 통해 가입한 30억원짜리 연금보험은 검찰이 금융투자업계까지 추적을 확대하면서 발견됐다. 검찰은 이달 둘째주부터 보험·증권업계에 이들 명의의 금융투자 상품이나 거래 내역을 집중적으로 요구하기 시작했다. 전 전 대통령이 연희동 인근 NH농협은행 신촌지점에서 연금보험에 가입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자택 인근 금융회사에 추가적인 금융자산이 있을 가능성도 대두되고 있다.
검찰은 물론 국세청까지 나서서 전씨 일가의 자금 흐름을 추적하고 나서자 금융회사들 사이에서는 ‘비명’이 나오고 있다. 요구하는 양이 방대한 데다 시점이 오래된 경우도 많아 자료 확보에 애를 먹기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전 전 대통령 일가의 대여금고·특정 금융상품 가입 사실 때문에 회사가 타격을 입지 않을까 전전긍긍하는 경우도 있다. 자칫하면 국가적 범죄에 연루됐다는 인식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증권사 고위 관계자는 “검찰과 국세청에서 전 전 대통령 측근 등의 금융자료 제공 요구가 전방위적으로 날아들고 있다”면서 “혹여 회사 이미지에 타격을 입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강준구 이경원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