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史草 증발’ 고발 정국] 野 “朴과 교감 축소·은폐”-與 “대선 불복”

입력 2013-07-25 17:55 수정 2013-07-26 00:46

여야는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위 이틀째인 25일에도 치열한 공방을 이어갔다. 경찰청 기관보고에서 민주당은 “여권과 국정원, 경찰의 공모로 인한 축소·은폐 수사”를 주장했고, 새누리당은 “명백한 불법 감금이며 대선 불복용”이라고 맞대응했다. 특히 여야 간 고성과 막말이 오가는 과정에서 특위는 수차례 정회되기도 했다. 26일 국정원 기관보고는 새누리당의 불출석 속 ‘반쪽짜리’ 특위가 전망된다.

민주당 정청래 의원은 지난 대선 당시 12월 15~16일에 찍힌 경찰청 CCTV 동영상을 공개했다. 여기에는 “언론에 나갔다가는 국정원 큰일난다” “기록은 올라가겠지만 (발표는) 안 하겠지” 등의 경찰 분석관들의 발언이 담겼다. 정 의원은 “경찰은 댓글 사실을 알았으면서도 (16일 대선 후보 TV토론 직후 밤에) 허위 보도자료를 내자고 모의했다”고 주장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TV토론 중 “댓글 증거가 나오지 않았다”고 한 영상 후엔 “(박 대통령이) 수사 결과를 알고 있었다”고도 했다.

이에 새누리당 전원은 발언 시간(5분)을 초과했다며 회의장을 나갔다. 20여분 뒤 특위는 정상화됐다. 새누리당 이장우 의원은 “이 같은 대선 불복이 민주당 지지율을 추락시켰다”고 지적했다.

최현락 경찰청 수사국장은 윗선의 축소·은폐 수사 지시 여부에 대해 “그런 사실이 없다”며 전면 부인했다. 이성한 경찰청장은 통합진보당 이상규 의원이 공개한 CCTV에서 “댓글이 삭제되고 있는 판에 잠이 오냐”고 한 경찰관 대화에 대해 “‘농담’이라더라”고 일축했다.

전날 민주당 박범계 의원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짜깁기’ 의혹을 제기한 것을 놓고도 설전이 이어졌다. 새누리당 김태흠 의원은 “사실이 아닐 경우 의원직을 사퇴할 수 있느냐”고 물었고, 박 의원이 “박근혜 대통령까지 연루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하자 여야 의원 간에 고함이 오갔다.

특위 종료 후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은 “국정원 기관보고는 ‘비공개 원칙’ 여부를 민주당과 합의에 이르지 못해 무기한 연기한다”고 선언했다. 반면 민주당 정청래 의원은 “특위 위원장을 포함해 야당 의원 9명은 전원 출석해 질의를 이어간다”고 말해 특위 파행이 예상된다.

김아진 김동우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