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金 대화록’ 증발 미스터리] 민주 김한길 대표 “특검·검찰수사로 규명”

입력 2013-07-24 18:36 수정 2013-07-24 22:23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24일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실종의 진상파악을 위해서는 여야가 합의해 엄정한 수사가 있으면 될 것”이라며 수사 필요성을 제기했다. 김 대표는 그러면서 “대화록 실종은 수사케 하고 국회는 국가정보원 대선개입 국정조사와 민생 살리기에 집중하자”고 제안했다.

김 대표의 회견은 대화록 증발 사태로 당이 수세에 몰리자 ‘수사 의뢰’를 내걸고 위기 탈출을 시도하려는 차원이다. 수사는 국회가 특별검사를 임명해 수사케 하거나 검찰에 수사의뢰하는 방안이 있지만, ‘여야 합의’를 언급한 데서 알 수 있듯 특검에 방점을 두고 있다.

김 대표는 이같이 밝히면서 “서해 북방한계선(NLL) 논란을 매듭지으려다 회의록 실종이라는 황당한 상황을 맞았다”며 “결과적으로 소모적 정쟁을 연장시킨 한쪽에 민주당이 서 있게 된 점을 유감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전날 당 소속 문재인 의원의 성명서에서 회의록 실종 사태에 대한 입장표명이 없어 비난 여론이 거세지자, 김 대표가 사실상 ‘대리 유감표명’을 한 것이다. 김 대표는 “새누리당이 연일 우리 당 특정 의원과 계파를 공격하는데 이는 금도를 넘은 것”이라며 “책임이 있다면 회의록 열람을 최종 결정한 당 대표에게 가장 큰 책임이 있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이어 “국정원의 대선개입과 대화록의 불법유출이 사실상 확인됐다”며 “이 모든 의혹을 (현재 진행 중인) 국정원 국정조사에서 규명하자”고 제안했다. 또 “국정조사 증인 선정은 양당이 요구하는 대상을 가능한 한 모두 포함시키자”고 요구했다. 민주당은 이명박 전 대통령과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 권영세 주중대사를 증인으로 채택하자는 입장이다.

김 대표 주변에선 당초 국가기록원 대화록 열람 소동으로 빚어진 현 국정 혼란에 대해 문 의원을 비롯한 친노(親盧·친노무현)계와 거리를 둬야 한다는 목소리도 많았다. 하지만 내부 분열을 우려해 실제 회견에서는 ‘문재인 감싸기’에 나섰다. 회견에 앞서 오전에 열린 비공개 미니의총에서 당 원로인 문희상 의원이 “우리끼리 싸워선 안 된다”고 내분 봉합에 나선 것도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조경태 최고위원은 25일 별도 기자회견을 열어 문 의원의 의원직 사퇴를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민주당 박용진 대변인은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가 ‘예전에 사초 범죄는 참수로 벌했다’고 말한데 대해 “야당을 향한 엄포라면 어떤 표현도 따라오지 못할 막말이자 적대감의 표현”이라고 비판했다.

손병호 정건희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