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 100일] 과학기술·ICT 업무 융합 안돼… 조직 재설계 착수

입력 2013-07-25 04:58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6월 초부터 창조경제 실현형 조직 재설계를 위해 조직 진단 작업을 벌이고 있다. 1억4000만원을 들여 한국능률협회컨설팅과 한국조직학회에 연구 용역을 준 상태다.



8월 말 최종 진단 결과가 나오면 조직 개편의 방향을 설정하고 곧바로 새단장에 들어갈 방침이다. 미래부가 과학기술과 ICT(정보통신기술) 분야의 융합을 통해 창조경제를 추진하는 부처인데도 과학기술과 ICT 분야 업무가 칸막이로 구분돼 있어 융합을 주도하기 어렵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조직 개편 작업이 너무 늦었다는 비판도 나온다. 정부조직법 처리와 장관 취임 지연 등으로 미래부 출범 자체가 늦어졌다 하더라도 시기를 놓친 조직 정비는 업무 추진의 발목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섣불리 조직 개편과 ‘융합 인사’를 단행했다가 지난 정부 교육과학기술부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당시 교과부는 교육과 과학기술 인력을 뒤섞으면서 정책의 전문성과 계속성을 놓치는 우를 범했다는 지적이 많았다. 무엇보다 미래부 공무원들이 조직 개편과 인사를 쳐다보느라 일손을 놓고 있는 상황이다.



미래부는 옛 교과부와 행정안전부, 지식경제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6개 부처의 업무와 기능을 물리적으로 결합한 조직이다. 본부 인력은 770여명이며 우정사업본부 등 산하기관까지 포함하면 2000여명에 달한다. 미래부의 한 공무원은 “미래부 출범 초기 극히 일부 부서에 국한해 과학기술과 ICT 쪽 인력을 ‘교차 인사’했다”면서 “하반기에 융합을 위한 조직 개편과 인사가 단행되면 여러 문제가 불거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공무원은 “ICT와 과학의 융합은 업무 협조를 말하는 것이지 사람을 융합하는 것이 아니다. 융합은 부서 간 협업과 브레인스토밍 등을 통해 해답을 찾을 수 있다”면서 “지난 정부 때 교육과 과학기술 쪽 인사를 인위적으로 섞어 결국 실패했다”고 말했다.



미래부 관계자는 “인사와 조직만으로 융합을 이룰 수 있다고는 할 수 없지만 양 분야가 잘 어울려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특히 창조경제 관련 부서 기능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 관계자는 “현재 창조경제기획관 산하 3개 부서, 30여명의 인력으로는 범부처 창조경제 업무를 조율하기에 부족한 측면이 있다”면서 “부처 간 협의 등을 거쳐 창조경제 관련 부서 확대 등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민태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