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부산과학관 건립 추진 ‘정부 일방통행’
입력 2013-07-23 18:57
새 정부 출범 초기부터 장관후보자 사퇴 등으로 물의를 빚은 미래창조과학부가 국립부산과학관(조감도) 건립을 추진하면서 도를 넘는 ‘갑(甲) 횡포’를 부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3일 부산시와 부산과학기술협의회(공동이사장 김기섭 부산대 총장)에 따르면 미래부가 ‘주민참여형’ 지역거점 국립부산과학관 건립을 추진하면서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무시한 채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고 있다.
미래부 산하 국립과학관추진단은 설립 취지를 무시한 채 지역민들의 여론을 배제하고 전시·건축·운영 등 전 분야를 일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법인설립과 개관 지연은 물론 지역산업 발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과학관 건립과 부실 운영 등의 우려를 낳고 있다.
부산지역의 경우 동남권 주력산업인 자동차·조선·항공우주·방사선의학 등을 주축으로 전시관을 건립토록 의견을 제시했다. 그러나 미래부는 이를 무시한 채 수송분야를 중심으로 전시관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부산과기협은 이날 미래부의 횡포를 규탄하는 성명서를 냈다. 협의회는 “미래부가 지역을 철저히 배제한 채 전시·건축·운영 등 전 분야를 일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며 “이는 부산시민 114만명의 서명운동을 무시하는 갑(甲)의 횡포”라고 비난했다.
협의회는 또 “지역 전문인력의 육성과 참여가 배제된 채 미래부가 전권을 행사하는 후진적인 과학관 정책은 각종 부작용이 우려된다”며 “국립부산과학관 법인의 조기 설립과 지역산업 중심의 전시관 건립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에 미래부 관계자는 “2009년 이후 수차례 건의서를 받고 자문회의 등을 거치는 등 사업을 일방적으로 추진하지 않았다”며 “향후 자문회의 등을 거쳐 사업 적정성 등에 대한 수정·보완 과정을 거칠 예정”이라고 말했다.
부산과기협은 부산지역 민·관·산·학·연의 총 결집체로 2006년 국립부산과학관 유치를 위한 114만 명 시민 서명운동을 주도했다. 이후 협의회는 과학관 건립에 대비해 청소년 과학교육사업과 과학관 전문인력 육성에 사업비 198억원을 투입했다.
국립부산과학관은 2015년 4월 부산 기장군 석산리 동부산관광단지에 완공 예정으로 지난 5월 착공됐다. 전체 11만3000㎡ 부지에 국비 917억원과 지방비 393억원 등 1310억원이 투입된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