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 목소리] 사설 캠프, 대대적 안전점검 필요하다

입력 2013-07-23 18:13

사설 해병대 체험캠프 도중 고등학생 5명이 숨지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발생했다. 캠프를 운영한 곳은 청소년 수련시설과 수상레저사업자 등록증을 보유한 현지 유스호스텔이 아닌 하도급을 받은 작은 여행사라 한다. 현장에 있던 교관 2명도 인명구조사 자격증이 없는 임시직이었다고 하니 얼마나 한심스러운 일인가.

사설 병영 캠프는 1만여개나 된다고 한다. 시설이나 장비가 부족하니 서로 빌려주고 돌려막기 식 운영까지 한다. 최소한의 안전조치도 없이 돈벌이에만 매달린 사설업체들의 총체적 부실이 드러났다.

여름캠프 사고는 이번만이 아니다. 지난해 7월 전남 신안에서 병영체험을 하던 고교생 2명이 사망했고, 경남 김해의 대안학교에서는 무인도 체험을 갔던 학생 2명이 실종된 지 닷새 만에 숨진 채 발견됐다.

국토대장정에 참가한 10대 청소년들이 폭행과 성추행을 당하기도 했다.

국회는 지난 3월 ‘청소년활동진흥법’을 개정해 지방자치단체장에게 미리 계획서를 제출하도록 했다. 하지만 오는 11월 발효되는 이 개정안도 ‘허가제’가 아닌 ‘신고제’라는 점에서 여전히 허점이 있다.

김도연(전남 영암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