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金 대화록’ 증발] 정문헌 ‘盧 발언 공개’로 발화… ‘국정원 국조’ 논란 중 불씨 번져
입력 2013-07-22 18:46
진실공방서 ‘사초 게이트’까지
진실공방에서 ‘사초(史草) 게이트’로 확대·재생산되고 있는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발언’은 지난 대선과정에서 불거졌다. 그간 여권 안팎에서 노 전 대통령이 ‘NLL 포기 발언’을 했다는 의혹이 나돌았지만 공식적으로 제기되지는 않았다.
지난해 10월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의 통일부 국정감사에서 새누리당 정문헌 의원은 “노 전 대통령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에서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NLL 때문에 골치가 아프다. 남측은 앞으로 NLL 주장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폭로했다. 민주당은 정 의원을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이후 지난 2월 ‘혐의 없음’으로 종결됨에 따라 NLL은 정치권에서 자취를 감추는 듯했다.
하지만 여야가 6월 임시국회에서 국가정보원의 대선·정치 개입 의혹사건 국정조사 실시를 놓고 맞붙던 중 다시 수면 위로 부상했다. 6월 17일 민주당 박영선 의원이 “NLL 포기 논란은 국정원의 시나리오”라고 주장했다. 새누리당은 발끈했고, 같은 당 소속 서상기 국회 정보위원장 등은 국정원이 보관 중이던 대화록 발췌본을 본 뒤 노 전 대통령 발언은 사실이라고 반박했다. 이에 민주당 문재인 의원이 국가기록원에 보관된 원본을 보자며 요구했다. 파문이 확산되자 국정원은 같은 달 24일 2급 비밀인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전문(全文)을 일반 문서로 재분류해 전격 공개했다.
하지만 국정원이 공개한 전문에 ‘포기’라는 직접 언급이 없었고, 친노(親盧·친노무현)계를 중심으로 국정원 본(本)의 ‘조작·왜곡 가능성’이 나왔다. 이에 여야는 7월 2일 국회 본회의에서 국가기록원에 보관된 대화록 원본 등 남북정상회담 관련 자료 제출요구안을 의결했다.
10명의 여야 열람위원들은 15일 경기도 성남 국가기록원에서 1차 예비열람을 진행했다. 하지만 대화록은 발견되지 않았고 결국 2차 열람일이던 17일 ‘대화록 실종’ 사실이 외부로 새나왔다. 18일 국가기록원이 ‘대화록 부재’를 국회에 보고한 뒤 여야는 전문가까지 동원해 재검색을 시도했지만 대화록은 끝내 발견되지 않았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