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金 대화록’ 실종] 사흘째도 허탕…재검색, 결국 실패로 막 내릴 듯

입력 2013-07-21 18:33 수정 2013-07-22 00:43

여야는 21일 경기도 성남 국가기록원을 사흘째 방문해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재검색에 나섰지만 이날 현재까지도 찾는 데 실패했다. 22일 오전에 추가 검색을 하기로 했지만 찾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새누리당 황진하 조명철 의원, 민주당 전해철 박남춘 의원 등 여야 열람위원은 이날 오후 2시쯤 국가기록원을 방문했다. 위원들은 오후 2시부터 30여분간 국가기록원장실에서 비공개로 검색 진행 상황 등에 대해 논의한 뒤 2시35분쯤 열람장인 4층 대회의실로 가 재검색 작업에 들어갔다. 검색은 오후 8시30분여까지 이어졌다. 열람위원 외에 여야가 추천한 민간 전문위원, 박경국 국가기록원장 등이 배석했다.

열람위원들은 국회 운영위원회의 대화록 존재 여부 최종 발표를 하루 앞둔 날임을 반영한 듯 시종 엄숙하고 긴장된 표정이었다. 대화록 검색 방식에 대해서는 철저히 함구했다. 열람위원들은 기자들과 만났지만 “(열람) 방식에 대한 얘기는 구체적으로 말할 게 없다”, “답변할 수 없다”며 답을 피했다.

그러나 이날 재검색에서도 대화록을 찾지 못했다. 황 의원은 “어떤 결과를 냈으면 했는데 아직 못 냈다. 찾을래야 찾을 수가 있어야지”라며 “월요일 오전 10시 다시 시작을 해서 확인 작업을 하겠다”고 말했다. 열람위원들은 앞서 19일과 20일에도 국가기록원을 방문, 재검색 작업을 한 바 있다.

국가기록원 직원들도 검색 진행 상황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다만 민주당 홍영표 의원이 제기한 ‘이지원 사본 봉인 훼손’ 주장에 대해서만 “비밀서고는 열람이 불가하다”며 적극 반박했다.

여야는 이날까지 대화록 확보에 실패하면서 극적인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한 대화록을 찾기는 어려운 형국으로 접어들고 있다. 여야는 22일 하루 더 검색하기로 했지만 추가 검색 시한 연장에는 합의하지 못했다. 시한 연장에 실패할 경우 오후에 예정돼 있는 국회 운영위 회의 이후 대화록 유무 논란은 급속히 대화록 폐기 책임공방으로 옮겨붙을 전망이다.

임성수 김동우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