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LL 대화록’ 원본 실종] 여야, 열람방법 다투다 시간만 낭비
입력 2013-07-19 18:52 수정 2013-07-20 00:13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찾기 위해 여야 열람위원들이 19일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을 다시 찾았다. 그러나 열람 방법을 두고 양측이 신경전을 벌이면서 본격적인 열람은 20일로 미뤄졌다.
특히 양당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측이 국가기록원에 전달한 청와대 업무관리 처리 시스템인 ‘이지원(e-知園)’을 복원해 대화록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의견접근을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 열람위원인 황진하, 조명철 의원과 민주당 열람위원 전해철, 박남춘 의원은 오후 경기도 성남 국가기록원을 방문했다. 각 당이 추천한 민간 전문가도 2명씩 동행했다. 새누리당은 김종준 두산인프라코어 보안실장과 김요식 국가보안기술연구소 보안실장을, 민주당은 박진우 전 대통령기록관 과장과 또 다른 민간 정보기술 전문가를 각각 선정했다.
작업은 오후 6시30분쯤까지 진행됐지만 본격적인 열람에는 들어가지도 못했다. 새누리당 황진하 의원은 “오후 3시부터 ‘어떻게 열람할 것인가’하는 열람 방법에 대해 논의했다”며 “20일 오후 2시부터 본격적으로 찾는 작업이 시작된다”고 말했다. 민주당 전해철 의원도 “이전 열람 방식에 한계가 있었던 것을 많이 논의했다”고 말했다.
열람위원들이 이날도 대화록을 찾지 못하면서 재검색 ‘데드라인’은 단 이틀만 남은 상태다. 여야가 22일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대화록 검색 결과를 최종 발표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은 이미 ‘대화록은 없다’는 데 방점을 찍고 느긋한 모습이다. 대화록 찾기에도 소극적인 것으로 보인다. 황 의원은 “22일까지 정해진 시간 내에 찾아내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모색해야지 수십만 건, 수백만 건 되는 문건을 다 보는 건 힘들다”며 “여야가 합의해 봐야 할 것만 보겠다”고 말했다.
반면 발등에 불이 떨어진 민주당은 필사적인 대화록 ‘수색작업’을 벌일 예정이다. 노무현정부 인사들도 “대화록은 찾아야 정상”이라며 추가 검색에 실낱같은 희망을 걸고 있다. 하지만 벌써부터 새누리당은 물론 민주당 내에서도 대화록 확보가 어려울 것이라는 회의적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
임성수 정건희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