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LL 대화록’ 원본 실종] “盧측 이관 안했을 것”-“MB정부 삭제 전과자”

입력 2013-07-19 18:36 수정 2013-07-19 18:52

여야는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실종’을 기정사실화하는 듯 19일부터 “만약 없을 경우”라는 말을 부쩍 많이 하기 시작했다. 새누리당은 추가 검색을 벌이기로 한 오는 22일까지도 대화록을 찾지 못한다면 노무현정부가 이관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점을 부각시켰다. 반대로 민주당과 고(故) 노 전 대통령 측은 ‘폐기 전문가’인 이명박정부 사람들이 없앴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어느 쪽 말이 맞든, 국가적으로 중요한 기록물이 두 정권 사이에서 너무도 허술하게 인수인계가 됐고 관리됐다는 비난을 면키 어려울 전망이다.

◇삭제 불가능 VS 삭제 유경험자들=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주요당직자회의에서 “민주당 측이 마치 이명박정부가 대화록을 임의로 폐기한 것처럼 몰아가고 있다”며 “기록물이 노무현정부에서 이명박정부로 그대로 이관됐다면 이 기록물은 유실 및 삭제는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술적으로도 삭제가 불가능하다는 게 국가기록원의 설명”이라고 덧붙였다. 실제 국회 주변에서는 “지웠으면 지운 흔적이 남을 텐데 설마 그랬겠느냐”는 게 일반적 시각이다.

반면 야당은 이명박정부 때 뭔 일이 있지 않았겠느냐는 의혹을 이어갔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5년 임기의 대통령기록관장을 면직시키고 이명박정부 청와대 행정관으로 교체한 배경에 의혹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 측 김경수 전 청와대 연설기획비서관도 MBC 라디오에서 “(여당에서) 기술적으로 폐기가 불가능하다지만 이명박정부는 전과가 있는 정부”라며 “국가정보원 댓글도 삭제했고, 경찰 수사기록도 삭제한 적이 있어 ‘불가능하다’는 말을 국민들이 아마 믿지 않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전 비서관은 “이관을 안 한 게 아니냐는 가능성을 얘기하지만 그건 거의 제로에 가깝다”고 주장했다.

◇자료 목록에도 없다 VS 전자문서라 없는 것=박경국 국가기록원장이 전날 국회 운영위에서 “노 전 대통령의 재가를 거쳐 넘겨받은 자료 목록에 대화록이 없었다”고 언급한 데 대해서도 공방이 확산되고 있다. 새누리당 열람위원인 황진하 의원은 주요당직자회의에서 “국가기록원에서는 처음부터 대화록을 이관 받지 않았다는 것”이라고 거론했다.

이에 대해 임상경 전 청와대 기록관리비서관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종이문서 기록을 보관하는 ‘지정서고 목록’을 언급하는 것 같다”며 “정상회담 대화록은 온라인문서관리시스템인 이지원을 통해 전자문서로 이관됐기에 종이문서 목록에 없는 건 당연하다”고 말했다. 그는 “대화록은 ‘지정기록’으로 분류돼 있는데, 지정기록은 1급 이상 중요비밀에 해당하는 기록”이라며 “지정기록은 설사 목록을 만들더라도 그 내용을 알지 못하게 하는 게 대통령기록의 기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새누리당 김태흠 원내대변인은 “찾을 가능성이 1000분의 1, 1만분의 1이면 그게 역사자료로서 의미가 있느냐”고 따졌다.

손병호 김동우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