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문화융성위가 할 일은 참으로 많다
입력 2013-07-19 17:36
문화융성위원회가 대통령 소속 정책자문위원회로 출범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19일 임명한 김동호 위원장 등 문화융성위 민간위원 면면에 거는 기대가 크다. 특히 김 위원장은 부산국제영화제를 세계 5대 영화제로 정착시킨 탁월한 행정가이자 세계적인 영화인이다. 박 대통령은 지난 2월 취임사에서 ‘경제부흥’과 ‘국민행복’ 및 ‘문화융성’을 통해 새로운 희망시대를 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강조된 문화의 위상과 역할이 문화융성위에 의해 더 효율적으로 우리 사회 각 분야에 스며들기를 기대한다.
사실 문화만큼 모호하고, 다면적으로 쓰이는 말도 많지 않을 것이다. 문화의 본질을 놓치지 않도록 하는 한 가지 방법은 문화가 다른 모든 분야와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인식이다. 이해집단 간 소통 및 갈등해결 방식 모두에도 문화는 배어 있다. 그런 면에서 문화융성위는 어떠한 칸막이도, 제약도 없이 국정 전 분야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그런 측면에서 근로시간 단축과 여가활동 촉진을 위한 정책을 제시할 것을 문화융성위에 권한다. 일과 놀이는 대척점에 있는 개념이다. 어느 하나만 강조되면 다른 하나는 말살되고, 삶의 균형이 무너진다. 문화융성위의 당연직 위원인 유진룡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평소 대체휴일제 도입을 적극 옹호해 왔다. 그는 지난 3일 기자간담회에서 “문화융성은 도달해야 할 목표가 아니라 나아가야 할 방향과 방법”이라며 “국민들이 문화를 향유하면서 행복해지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더 많은 국민이 문화를 향유하려면 여가 확충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문체부, 고용노동부 등 부처 간 협업이 요구된다.
구체적 과제는 다양한 창작활동과 문화·예술 단체에 대한 지원이다. 박 대통령은 “문화·예술 종사자들을 뒷받침하거나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방향으로 시작하려 한다”고 말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지원하는 돈에 꼬리표를 달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돈주머니는 풀되 간섭은 하지 말아야 한다.
아울러 이념대결과 네 편, 내 편 가르기로 심한 상처를 입고 있는 우리사회를 치유할 수 있는 넉넉한 위원회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