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어린이 22명이 무료 급식을 먹고 숨진 참사가 해당 초등학교장이 연루된 비리 사건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인도 언론 퍼스트포스트가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P K 샤히 인도 비하르주 교육부 장관은 “일각에서 제기되는 음모론을 사건 원인에서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음모론’이란 사고가 일어난 초등학교 교장의 남편이 무료 점심식사 제공에 사용되는 식품 자재들을 공급하는 일을 하고 있으며, 해당 업체에서 부적절한 식료품을 공급했지만 교장이 의도적으로 묵인했다는 것이다.
힌두스탄타임스 등은 숨진 어린이들의 부검 결과 어린이들이 먹은 음식이나 조리에 사용된 식용유에 살충제가 든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경찰은 사건 직후 달아난 교장 미나 쿠마리의 자택을 압수수색, 살충제가 든 용기 2개가 급식용으로 공급받은 콩, 채소 등과 나란히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번 참사로 인도의 무상급식 시스템도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시스템은 모든 어린이들이 최소 하루에 한 끼는 따뜻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1960년대부터 시작됐으나 관리에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인도 정부는 매년 자국 농가에서 250만t의 곡물을 사들여 학교 60만곳에 공급하고 있다. 정부가 언제나 일정한 양의 곡물을 사들이기 때문에 넘치는 곡물로 골머리를 앓는 농가에선 질이 낮고 오래된 곡물을 주로 공급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했다. 이 같은 관행은 잦은 식중독 사고로 이어진다. 34년간 교사로 일해 온 아마르씨는 “급식에서 도마뱀이나 악어, 쥐들이 나온 모습을 봤다”며 “비하르주에서 일하며 그런 일은 10번도 넘게 봤다”고 말했다.
양진영 기자 hansin@kmib.co.kr
인도 초등생 집단사망 급식에 살충제 확인
입력 2013-07-18 18:47 수정 2013-07-19 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