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의회 위안부 결의안 통과 6주년 기념 리셉션… 지한파 의원들 대거 참석 日 정부 성토
입력 2013-07-18 18:43
17일 오후(현지지간) 미국 워싱턴DC 의회 레이번빌딩 3층 2358호실. 한인단체 회원들과 자원봉사자 100여명이 모인 가운데 낯익은 미 의원들이 하나둘 모습을 드러냈다. 에드 로이스(공화·캘리포니아) 하원 외교위원장과 직전 위원장인 일리애나 로스-레티넌(공화·플로리다), 마이클 혼다(민주·캘리포니아), 찰스 랭글(민주·뉴욕), 잰 사코스키(민주·일리노이), 그레이스 멩(민주·뉴욕), 셀리아 잭슨 리(민주·텍사스) 의원 등이었다.
한인 교포 현안과 북한·한반도 관련 법안 제·개정에 앞장서온 지한파 의원들이 이처럼 한자리에 모이기는 쉽지 않다는 평가다. 의회 개회 중에는 1∼2분을 쪼개 사용할 정도로 바쁜 의원들이 모인 자리는 ‘미 의회 위안부 결의안 통과 6주년 기념 리셉션’이었다. ‘종군위안부 결의안(HR121)’은 미 하원에서 2007년 7월 30일 만장일치로 통과됐었다.
로스-레티넌 의원은 “종군위안부 결의안은 보편적인 인권 향상을 위한 중요한 업적”이라면서 “그 이전까지 미국에서 2차 세계대전 중 유럽의 잔학 행위는 잘 알려져 있었지만 너무도 많은 미국인들이 아시아에서 일본군이 저지른 범죄행위에 대해서는 알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옥선 할머니 등 위안부 여성들의 용기와 한인 시민단체 회원들의 헌신 덕분에 이 결의안이 통과됐다”며 “이 결의안을 보면서 미국인들은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었는지’ 놀라면서 현재 진행되는 인신매매 등 광범위한 인권 침해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됐다”고 지적했다.
결의안 통과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혼다 의원은 “일본 정부는 2차 대전 시기 여성들을 조직적으로 납치하고 성적 노예 행위를 강요한 역사적 책임을 인정하고 바로잡는 것을 고집스럽게 거부하고 있다”며 “일본 국민들을 교육하는 것이 앞으로 주요한 과제 중의 하나”라고 지적했다.
그는 “일본 정부가 고령의 위안부 증인들이 죽을 때까지 기다리는 전략을 쓰고 있지는 않은지 의심된다”면서 “정말 그렇다면 동정심이 부족하다는 정도를 넘어 비정하다고 해야 할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날 행사를 추관한 뉴욕 소재 시민참여센터의 김동석 상임이사는 “아베 총리의 과거 침략 행위 부정 등 일본의 ‘역사 퇴행’ 움직임에 미 의원들이 매우 분노하고 있다”며 “이날 행사에 대거 참석한 것도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