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넘겼는데 왜 없나”… 기록물 이관 관여 김경수·임상경·이창우 회견

입력 2013-07-18 18:17 수정 2013-07-18 22:25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측은 18일 국가기록원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원본이 없다고 밝힌 데 대해 “전부 다 넘겼는데 왜 없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이명박정부 때 기록 관리에 정치적 목적이 개입됐다는 의혹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노무현정부 시절 대통령기록물 이관에 참여했던 김경수 전 연설기획비서관, 임상경 전 기록관리비서관(전 국기기록원 대통령기록관 초대관장), 이창우 전 제1부속실 행정관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정상회담 회의록은 2007년 10월 국가정보원에서 초안을 만든 뒤 청와대 안보정책실의 보완 작업을 거쳐 그해 12월에 청와대 문서관리시스템인 이지원(e-知園)을 통해 노 전 대통령에게 보고됐다”며 “이후 2008년 1월에 이지원과 연계된 국가기록원 시스템에 자동이관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통령기록물관리법에 따라 직전 대통령 추천으로 임명되는 대통령기록관장의 5년 임기가 보장됐는데도 이명박정부는 임 전 관장과 노무현정부 출신 기물물 담당과장을 쫓아낸 뒤 자신들의 청와대 행정관을 후임 관장으로 임명했다”며 “그 이후 기록물을 어떻게 관리했는지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임 전 관장은 앞서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2008년에 노 전 대통령이 퇴임 뒤 봉하마을에 가져간 자료에 대해서도 “그해 8월 봉하마을 기록물 일체를 국가기록원에 넘겨줬고 검찰이 모든 자료가 이관됐음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요자료의 보관방법 때문에 아직 대화록이 발견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거론했다. 그는 “기밀자료는 쉽게 찾지 못하게 가령 ‘서해’에 관한 내용이면 전혀 엉뚱하게 ‘동해’라고 제목을 달아 연막을 치거나, 아예 ‘***에 대하여’라는 식으로 내용 자체를 표기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임 전 관장은 ‘국가기록원 기록관리시스템에서 자료를 삭제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불법적으로 삭제하려고 하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한편 민주당 문재인 의원도 트위터 글에서 “지정기록물 제도는 생산자가 그 기록으로 인해 정치적 공격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자는 취지인데 우리는 온갖 핍박을 당하고, 기록을 손에 쥔 측에서 마구 악용해도 속수무책”이라고 비판했다.

손병호 정건희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