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金 대화록 원본 실종] 역사에 누락시킨 ‘史草 게이트’

입력 2013-07-18 18:14 수정 2013-07-18 22:14


‘판도라의 상자’를 열었지만 아직까진 아무것도 나오지 않았다. 18일 열린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여야 대화록 열람위원들은 “대화록을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대화록 ‘원본’ 공방이 대화록 ‘실종’ 공방으로 옮겨갈 조짐마저 보이면서 이번 논란이 정치적 파장을 가늠할 수 없는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다.

◇대화록, ‘몸통’만 못 찾았다=운영위는 여야 위원들과 박경국 국가기록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긴장된 분위기에서 열렸다. 개회 직후 새누리당 원내대표인 최경환 국회 운영위원장은 “오늘 오후 1시15분쯤 정상회담 관련 자료가 국가기록원으로부터 제출됐다”고 밝혔다. 국가기록원은 ‘몸통’ 자료인 2007년 제2차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은 제외한 채 부속 기록물만 국회에 제출했다. 국정원이 공개한 대화록과 비교해볼 수 있는 원본은 쏙 빠진 것이다.

새누리당은 ‘대화록이 없다’며 대화록 실종을 기정사실화했다. 황진하 의원은 “제시된 키워드와 고려 가능한 모든 용어를 사용했으나 해당 문서를 찾을 수 없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말했다.

반면 민주당은 ‘아직 못 찾았다’고 맞섰다. 우윤근 의원은 “민주당 열람위원 전원은 기록원 측에 ‘현재까지 찾지 못한 것이 옳은 대답이다. 모든 방법을 다하지 않은 상태에서 없음을 확인했다고 하는 것은 납득이 안 된다’고 질책했다”고 보고했다.

여야는 대화록을 제외한 부속자료 공개 여부를 두고도 의견이 엇갈려 추후 다시 논의키로 했다. 새누리당은 대화록이 안 온 만큼 부속자료만 공개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입장이다. 민주당은 지금까지 찾은 자료라도 즉시 공개하자고 반박했다.

◇‘더 찾아보자’ VS ‘소용 있겠나’=여야가 일단 22일까지 추가 확인에 들어가기로 합의하면서 ‘대화록 찾기’ 작업은 시간을 더 벌게 됐다. 새누리당과 민주당은 각각 열람위원 2명에 더해 2명씩의 전문가를 추천해 대화록 검색을 이어가기로 했다. 8명이 이 기간에 샅샅이 대화록을 찾고 열람위원 전원은 22일 최종 열람을 갖기로 했다. 검색 열람위원으로는 새누리당 황진하 조명철, 민주당 박남춘 전해철 의원이 선정됐다.

일각에서는 문서 이관을 담당했던 노무현정부 인사들을 검색 작업에 참여시켜야 한다는 제안도 나온다. 이들은 국가기록원에 이관한 ‘이지원(e-知園)’ 시스템을 복원하면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새로 검색하더라도 대화록을 찾을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이미 ‘NLL’ ‘남북정상회담’ 등 기존 제시된 7가지 키워드뿐 아니라 다른 키워드로도 여러 차례 검색을 했기 때문이다. 국가기록원은 2007년 남북정상회담 관련 자료 256만건 중 지정기록물인 34만건 위주로 국회가 제시한 키워드에 따라 검색을 해 왔다. 이에 따라 벌써부터 대화록 실종 책임에 대한 검찰 수사 불가피론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극적으로 대화록을 찾게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노무현정부와 이명박정부가 대화록을 폐기할 만큼 위험한 정치적 ‘도박’을 하지는 않았을 것이란 가정 때문이다.

임성수 김동우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