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수사 기록 다시 들여다본다
입력 2013-07-18 18:04 수정 2013-07-18 22:22
서울중앙지검 ‘전두환 일가 미납 추징금 특별집행팀(팀장 김형준)’이 과거 진행했던 전 전 대통령과 아들 관련 수사기록 일체를 확보해 분석 중이다.
18일 검찰 관계자의 말을 종합하면 집행팀은 대검찰청에서 보관하고 있는 1995년의 전 전 대통령 내란·반란죄 및 뇌물수수 수사, 2004년 차남 재용씨 조세포탈 수사 관련 기록을 넘겨받았다. 2006∼2007년 재용씨와 그의 두 아들 계좌로 41억원어치의 무기명 채권이 세탁돼 유입됐다는 의혹에 대해 수사했던 자료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당시 증언 및 부동산·금융 거래 추적 자료, 수사 대상 인물 등을 재검토해 이번의 추징금 환수 조사 개요도를 짤 때 기초 자료로 썼다. 지난 16, 17일 전 전 대통령 친인척, 자금관리인 등에 대한 30여곳 연쇄 압수수색 때도 활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관계자는 “(과거 기록들이) 이번 건과 성격은 다르지만 조사 진행에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날로 압수수색을 마치고 분석에 들어갔으며, 이르면 다음주부터 관련자 소환에 나설 예정이다.
한편 검찰은 국세청과 함께 전 전 대통령 내외와 자녀, 며느리, 손주 및 측근들의 보험 가입 현황 파악에도 나섰다. 두 기관은 지난주 보험사 5곳에 이들의 보험계약 내역을 보내 달라고 요구했다. 업계 관계자는 “생명보험에 일시납, 즉시연금 등을 통해 고액으로 비자금을 묻어 놓았을 가능성을 캐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손해보험의 경우 소멸성 계약으로, 큰돈이 흘러들어갔을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