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 NLL 진실’ 영원히 묻히나… 국가기록원 “대화록 원본·녹음 자료 없다” 밝혀

입력 2013-07-18 18:04 수정 2013-07-18 22:22


국가기록원은 2007년 제2차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원본과 녹음 자료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18일 밝혔다. 이에 따라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의 진실은 영구미제로 남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새누리당 열람위원 황진하 의원은 18일 긴급 소집된 국회 운영위원회 회의에서 “17일 열람위원 전원이 재차 국가기록원을 방문해 추가 검색 결과를 확인했으나 해당 자료를 찾지 못했다”며 “국가기록원이 그런 자료(대화록과 녹음 기록물)는 보유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민주당 열람위원 우윤근 의원도 “새누리당 의원들 질의에 국가기록원이 대화록이 없다고 확인하는 답변을 했다”고 설명했다.

여야 열람위원들은 22일 오후 2시 대통령기록관을 다시 방문해 대화록 존재 여부를 최종 확인한 뒤 그 결과를 즉시 운영위에 보고하기로 합의했다. 또 22일 이전에 양당 열람위원 4명과 전문가 4인 등 8명을 기록관에 파견해 대화록을 찾기로 했다.

국가기록원은 오후 대화록을 제외한 제2차 남북정상회담 관련 자료를 국회에 제출했다. 이미 제출된 자료의 열람 개시 여부는 양당 열람위원단장이 협의해 결정하기로 했다.

이런 가운데 새누리당 소속 서상기 국회 정보위원장이 대화록 원본이 없다면 국가정보원이 보유 중인 남북정상회담 대화 녹음 기록물을 공개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혀 주목된다.

새누리당은 노무현정부의 책임을, 민주당은 이명박정부의 책임을 각각 주장하며 거친 공방을 주고받아 NLL 논란은 전임 정권 간 충돌로 치닫고 있다. 전병헌 민주당 원내대표는 “참여정부가 기록물을 삭제했을 가능성은 전무하다. 이명박정부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반면 새누리당 일각에서는 노무현정부의 폐기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김태흠 원내대변인은 “몇몇 참여정부 인사가 대화록을 찾지 못하는 것을 마치 국가기록원과 이명박정부의 책임으로 떠넘기려 하는 행태를 보이는데 이는 적반하장”이라고 비판했다.

김재중 유동근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