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월미은하레일 철거하면 인천시 고발하겠다"
입력 2013-07-18 14:19
[쿠키 사회]인천 월미도를 비롯한 중구 주민 30여명으로 구성된 월미은하레일안전개통추진위원회가 철도기술연구원의 용역결과대로 보수·보강을 하지 않고 내년 4월까지 다른 대안을 마련하겠다는 인천교통공사와 인천시를 직무유기로 고발키로 해 귀추가 주목된다.
월미은하레일안전개통추진위원회(위원장 신동균·62)는 18일 오전 인천시청 브피링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국내 최고 기술진으로 구성된 철기연의 용역결과대로 38가지를 보수·보상해 월미은하레일을 개통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위원회는 또 “월미은하레일 준공허가를 해준만큼 한신공영이 하자보수증권을 쓸 수 있도록 규제를 해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위원회에는 김홍섭 중구청장의 딸도 들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주민들은 한신공영측이 40억원이 필요한 낙하방지시설에 대해서는 “못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서도 월미은하레일 철거론의 배경이 된 안내륜이 떨어진 사고를 감안할 때 낙하물 방지시설은 필요하다며 한신공영과는 다른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한신공영과 인천교통공사가 법적소송에 들어가 조만간 법원 검증단이 현장을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교통공사가 승소한다고 하더라도 한신공영이 불복할 것이 분명해 대법원까지 소송이 진행될 경우 앞으로 3년가량 시간만 허비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 “안전성이 확보된 경전철형 모노레일도 환영한다”며 “인천시가 개항장 이래 최대 규모인 853억원을 중구에 투자한 취지를 살리기위해서라도 고쳐서 쓰는 것이 적절하다”고 제안했다.
이들은 “월미은하레일 공사 직전 주말 기준 30만명이 찾아온 월미도에 요즘은 10만명도 오지 않는다”며 “관광특구인데도 상가의 3분의2가 손님맞이를 못하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월미은하레일 공사 이후 교통체증 문제 등으로 중구 전역에 입한 손해가 1조6000억원에 달한다”며 “손해배상청구소송도 제기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시민세금 300억원을 또다시 투입해 대안을 찾는 것보다는 300억원을 들여 고쳐서 쓰는 것이 낫다”며 “주민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강력한 투쟁을 통해 중앙정부가 관심을 갖도록 주민들이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인천=국민일보 쿠키뉴스 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