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 vs 48%’의 정치학] 갈피 못잡는 민주당… 잇단 오해성 발언에 골머리
입력 2013-07-16 18:36
민주당이 국가정보원 대선 개입 의혹이라는 호재가 생긴 상황에서도 우왕좌왕하는 것은 지난 대선 결과에 대한 ‘개운치 않은 승복’ 때문이라는 지적이 많다. 지도부는 하루가 멀다 하고 승복 입장을 밝히는데 반해 친노(親盧·친노무현)계 및 당내 강경파 중심으로는 불복을 시사하는 돌출 발언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당 지도부는 그동안 공식적으로 대선 결과에 승복한다는 입장을 수차례 밝혔다. 김한길 대표는 15일 “민주당은 대선에 불복하는 것이 아니다. 민주당은 민주주의와 헌정질서를 망가뜨리고 있는 비정상적인 국정 운영에 불복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양승조 최고위원, 정세균 상임고문 등도 16일 라디오에 출연해 “대선 불복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대선 후보였던 문재인 의원이 지난달 기자들과의 산행에서 “이제 와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선거에 대한 책임을 물을 수는 없고 그건 바람직하지 못하다”며 이미 못을 박았다.
당내에서는 대선 불복 논란은 청와대와 새누리당이 짜놓은 ‘가짜 프레임’이라는 불만이 많다. 김관영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이미 여러 차례 대선에 대한 불복이 아니라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음에도 (청와대가) 국론을 분열시키는 일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관계자도 “국정원 선거 개입 진상 규명이 되지 않을 경우 대선 결과를 부정하는 시민이 늘 것이라는 우려를 정부·여당이 ‘민주당의 대선 불복’으로 몰아붙여 의도적인 곡해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당내에서 대선 불복으로 오해받을 수 있는 발언이 나오는 것도 사실이다. 박범계 의원은 지난달 17일 국정원 댓글 수사와 관련해 “경찰이 당시 확보했던 디지털 분석 결과 보고서를 대선 전날인 12월 18일 제대로 발표했다면 대한민국 대통령은 문재인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해 논란에 불을 댕겼다. 최근에도 이해찬 상임고문이 “당선 무효 주장 세력이 늘어날 것”이라고 했고, 임내현 의원은 “선거 원천무효 투쟁이 제기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발언들은 당내 불협화음만 증폭시키고 결국 국정원의 대선 개입이라는 본질을 민주당 스스로 흐리게 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문재인 후보 캠프에서 국민통합위원장을 지낸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은 라디오에 출연해 “한국 정치에 승복의 문화가 없다”며 “국정원의 정치 개입 사건에 대한 전모가 드러나지 않은 상황에서 대선에 불복할 것처럼 발언하면 국민이 어떻게 받아들이겠느냐”고 비판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