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전북도청사 터 전라감영 복원 8년째 ‘제자리’
입력 2013-07-16 19:04
옛 전북도청사 터에 조선시대 전라감영(全羅監營)을 복원하는 사업이 8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옛 도청사 철거비 부담을 놓고 전북도와 전주시가 맞서고 있는데다, 기존 입주단체들의 이전 문제도 해결되지 못하는 형편이다.
16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라감영 복원계획은 2005년 8월부터 추진됐다. 하지만 복원 방향과 규모를 놓고 몇 년째 옥신각신하며 아직 첫 삽도 뜨지 못했다. 전주시 중앙동 옛 도청사의 철거작업은 빨라야 내년 3월에나 이뤄질 전망이고, 상황에 따라 더 늦어질 수도 있다.
특히 옛 도청사 건물 철거비 14억원을 부담하는 문제를 놓고 도와 시가 팽팽한 줄다리기를 계속하고 있다.
도가 비용을 반반씩 내자며 예산 7억원을 확보했지만, 시는 건물주가 도이기 때문에 낼 수 없다며 맞서고 있다.
건물에 입주한 단체들의 이전 문제도 마무리되지 못한 상태다. 이 건물에 입주한 29개 단체는 당초 지난 2월까지 방을 비우기로 했으나 10여개 장애인단체들이 이전대책을 요구하며 버티고 있다. 임대기간이 8월로 연장된데 이어 다시 연말까지 넘어가게 됐다.
도 관계자는 “그동안 이견으로 사업이 계획보다 많이 늦어졌다”면서 “입주단체 이전과 건물철거 문제를 빨리 매듭지어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라감영은 조선 초기 설치돼 1896년까지 관찰사가 거주하며 전라남북도와 제주도를 통할(統轄)하던 관청이었다.
도와 시는 전통문화도시로서 전주의 위상을 높이는 한편 옛 도심 활성화를 위해 감영 복원을 추진해 왔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