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가계부채 고민 해결사 떴다…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 6곳 개소

입력 2013-07-15 22:39


가계부채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민들에게 금융·복지·법률 상담을 한꺼번에 제공하는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 6곳이 15일 서울에서 일제히 문을 열었다.

서울시는 시내 곳곳에 흩어져 있던 47개 재무 관련 상담창구를 6개의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로 통합 개편해 이날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금융복지상담센터가 들어선 곳은 서울시복지재단(중앙센터), 서울시청 신청사, 성동구청 민원상담실, 마포구청 중소기업상담센터, 도봉구청 민원상담실, 금천구청 통합민원실 등이다.

상담센터는 기존 재무상담창구, 가계부채종합상담센터 등이 수행하던 대출정보나 채무조정 등 제한된 범위의 상담 분야를 재무설계, 복지서비스와 연계, 법률지원 등으로 확대한 게 특징이다.

각 상담센터에는 전문 상담가가 2∼3명씩 상주하며 내방객들을 대상으로 부채관리 및 재무설계 관련 상담을 하고, 개인회생이나 파산 절차가 필요할 경우에는 금융구제 방안이나 절차 등을 안내하게 된다. 또 민원인들이 지원받을 수 있는 복지서비스를 연계시켜 주고 서울복지법률지원단 상근변호사 등을 통해 법률지원까지 해준다.

시는 또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MOU를 체결, 센터 6곳에 국민행복기금 접수창구를 개설하고 채무가 많은 시민들이 신속하게 금융지원을 받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센터는 전화상담과 출장상담도 함께 진행한다. 운영시간은 월∼금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다. 서울시복지재단에 마련된 중앙센터에서는 매주 화요일 오후 6∼9시 야간상담도 실시한다.

금융복지관련 서비스가 필요한 시민들은 서울시복지재단 등에 설치된 복지상담센터를 방문하거나 전화(1644-0120) 또는 인터넷(sfwc.welfare.seoul.kr)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시는 금융복지상담센터가 저소득층 가계부채 해결의 거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날 오전 시청 신청사에서 열린 개소식에 참석,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는 시민들의 재무 주치의가 돼 가계부채로 고통 받는 시민의 어려움을 실질적으로 해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