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황우여 대표 ‘4대강 감사’ 미묘한 시각차

입력 2013-07-16 05:03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가 대운하 건설과 4대강 사업의 연관성을 지적한 감사원 감사 결과를 놓고 미묘한 시각차를 드러냈다. 박 대통령은 “감사원이 나서서 무리한 추진을 정리해야 한다”며 이명박정부와 각을 세운 반면 황 대표는 “조사 신뢰성에 의구심이 든다”며 감사원을 걸고 넘어졌다.



박 대통령은 15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여러 논란이 있는데 감사원이 발표한 부분을 앞으로 소상히 밝혀 의혹이 해소되도록 해야 한다. 필요한 후속조치와 대책을 추진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무리하게 추진돼서 국민 혈세가 들어간 부분에 대해서는 과감하게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감사원의 4대강 사업 감사 결과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인 것으로 이명박정부 시절의 잘못된 점을 정리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황 대표가 감사원 감사 결과를 공개적으로 비판한 것과 차이가 난다. 황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감사원이 발표한 4대강 사업 감사 결과를 지켜보면서 국민들의 우려의 목소리와 함께 당에서도 걱정이 있다”며 “동일한 사항에 대하여 3번, 사전·진행과정·사후에 감사를 하면서 감사 결과를 달리 발표한 것은 과연 어떤 결과 감사가 맞는지 신뢰성에 의구심을 갖게 했다”고 꼬집었다. 특히 사업계획 등에 문제가 없다고 했었던 2011년 1월 감사 결과를 인용하며 대운하 건설을 염두에 두고 계획됐으며 담합의 빌미를 제공했다고 한 이번 감사와의 비일관성 문제를 지적했다.



이처럼 청와대와 여당이 엇갈린 문제의식을 드러내자 여당에선 ‘친이(親李·친이명박)’계를 바라보는 입장차에서 비롯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박 대통령을 비롯한 청와대 내 ‘친박((親朴·친박근혜)’계와 친이계는 2007년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 때부터 4대강 문제로 갈등했던 구원(舊怨)이 있지만 당내 비주류까지 아울러야 하는 황 대표는 다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황 대표로선 4대강 사업에 대한 야당의 국정조사 요구를 비켜가야 하는 부담도 고려됐다는 분석이다.



청와대 내에는 “감사원이 다양한 형태의 부실시공으로 인해 추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한 것인데 이게 왜 친박계와 친이계 간의 문제이며, 새 정부와 이명박정부의 갈등이 될 수 있느냐”는 목소리가 존재한다. 새누리당 지도부에서 나오는 감사원 질책에 대해서도 ‘친이·친박 소리를 듣지 않기 위해 덮어두려는 목적이 있는 것’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유동근 신창호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