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예비열람 추가자료 요구로 본열람 늦어질 듯

입력 2013-07-15 18:12 수정 2013-07-15 22:03


여야는 15일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예비열람 후 추가 자료를 요구키로 해 열람자료 선정이 늦어지게 됐다.

새누리당과 민주당 5명씩 10명의 열람위원들은 경기도 성남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을 방문해 대화록 관련 자료 목록을 살펴보는 예비열람을 진행한 후 이같이 결정했다. 열람위원단 새누리당 간사인 황진하 의원은 국가기록원 방문 후 “오늘 (검색 키워드) 자료 목록을 확인했다. 몇 가지 자료를 더 요구하는 게 좋겠다고 여야가 합의했다”고 밝혔다.

여야는 기존 7개 키워드 외에 각기 2∼3개씩 키워드를 추가로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료 목록을 검토한 결과 ‘NLL’ ‘북방한계선’ ‘남북정상회담’ ‘등거리·등면적’ ‘군사경계선’ ‘남북 국방장관회담’ ‘장성급회담’ 등 이미 합의한 키워드로는 양측이 원하는 자료를 열람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따라 그동안 키워드로 거론됐던 ‘북핵’ ‘주한미군’ ‘경찰’ ‘군대’ ‘공동어로수역’ 등이 추가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예비 열람에 참여한 한 관계자는 “양측이 국가기록원을 방문한 뒤 키워드 추가 의제를 맨 처음 꺼냈다”고 말했다.

열람위원들은 오전 11시50분쯤 국가기록원에 도착해 7개 키워드에 따른 문서명, 생산시기, 생산기관 등이 적힌 목록을 열람했다. 오후 1시쯤 오전 예비열람을 끝냈고 오후 2시20분쯤 열람을 재개해 예상보다 이른 오후 3시쯤 열람을 마쳤다. 열람에 채 2시간이 걸리지 않은 것으로, 키워드 추가 문제로 이견을 보여 국회에서 재논의키로 하고 국가기록원을 떠난 것으로 전해졌다. 위원들은 17일 다시 국가기록원을 방문해 예비열람을 재개할 예정이어서 사본 제출은 일러도 18일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국회 운영위원장인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수차례 ‘최소 공개’를 언급하며 대화록 내용은 물론이고 목록도 공개되지 않게 해달라고 보안을 강조했다. 위원들은 열람 내용을 발설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국가기록원 제출용 보안각서와 운영위가 요구한 보안서약서에 서명했다.

김현길 김아진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