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민주당은 무엇을 위해 논쟁 중인가
입력 2013-07-15 18:21
과도한 대여공세 자제하고 민생·민주주의 함께 추구해야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둘러싼 정국 파행이 지속되면서 정치권에 나타난 특징 중 하나가 친노계의 부상이다. 지난 대선 당시 민주당 후보로 나섰다가 패한 문재인 의원이 ‘트위터 정치’를 통해 정부·여당을 공격하는 데 앞장서고 있고, 친노 진영 인사들도 잇따라 강경 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난해 총선과 대선에 이어 5·4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완패해 친노계의 운명이 다했다는 관측까지 나왔으나 NLL 정국을 계기로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해가고 있는 것이다. 반면 김한길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와 신주류 측은 친노 인사들의 돌출행동을 제어하지 못한 채 휘둘리는 형국이다.
친노 진영의 파상공세는 현재 진행형이다. 끈끈한 유대감도 여전하다. 노무현 전 대통령을 비하하거나 폄하하는 움직임이 보이면 막말도 서슴지 않는다. 홍익표 의원의 ‘18대 대선은 무효’에 이은 ‘귀태’ 발언이 대표적이다. 홍 의원의 원내대변인직 사퇴와 김 대표의 유감 표명으로 정국이 안정을 되찾아가나 싶었는데, 이번엔 노무현정부 시절 총리를 지낸 이해찬 의원이 박정희 전 대통령을 재론하며 박근혜 대통령을 정면으로 비판하는 일이 벌어졌다. 본인들은 부인하겠지만, 박 대통령을 대통령으로 인정하지 못하겠다는 인식을 아직도 갖고 있는 게 아닌가라는 의구심을 갖게 하기에 충분하다.
‘노 전 대통령의 NLL 포기 주장은 날조’라는 친노 진영의 일관된 입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당 지도부의 만류에도 노 전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 때 북측에 전달한 문서라며 지도 사본을 공개한 윤호중 의원 역시 친노계다.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 국정조사특위 위원으로 임명된 뒤 새누리당의 제척 요구를 완강히 거부하다 금명간 사퇴할 것으로 예상되는 김현 의원은 노무현정부 시절 청와대 춘추관장 겸 보도지원비서관을 역임했다. 앞서 새누리당이 지난 대선 전에 대화록을 입수한 것으로 보인다며 녹음 파일을 공개했던 박범계 의원은 노무현정부 때 청와대 법무비서관을 지냈다.
‘노무현 사람들’로서 NLL과 관련된 오해가 있다면 정확히 알려야 한다는 일종의 책임의식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대가가 크다. 여권의 책임 또한 적지 않지만, 전반적인 국정 운영에 차질이 빚어진 것은 물론 민주당에 호재인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 국정조사 일정마저 허비했다. 막말은 민주당에 부담만 주었다. 우여곡절 끝에 NLL 대화록 열람이 시작된 것을 계기로 ‘장님, 코끼리 만지기’ 식의 소모적인 논란이 확산되지 않도록 친노 인사들부터 언행에 유의해야 한다.
더욱이 노무현정부가 국민들에게 호의적인 평가를 받지 못하는 이유 가운데 ‘한풀이 정치’ ‘증오의 정치’가 자리 잡고 있다는 건 친노 진영 인사들이 누구보다 더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이를 되풀이하려는 듯한 행태를 보여서야 되겠는가. 이제부터라도 김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 그리고 민주주의와 민생을 동시에 추구하는 길로 나아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