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회록 열람 전망] 여야위원 10명 오늘 예비열람… ‘해석’ 충돌 불가피
입력 2013-07-15 05:23
‘귀태(鬼胎) 발언’ 파문이 봉합되면서 여야는 15일 국가기록원에 보관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예비열람을 진행한다. 대화록 공개가 임박하면서 향후 해석 공방에서 유리한 국면을 조성하기 위한 여야의 신경전도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대화록 열람 어떻게 이뤄지나=새누리당 윤상현, 민주당 정성호 원내수석부대표는 “15일 오전 10시30분 국회 운영위원장실에서 여야 열람위원들이 첫 회동을 한 뒤 국가기록원으로 가서 예비열람을 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열람위원은 새누리당 황진하 김성찬 심윤조 김진태 조명철 의원, 민주당 우윤근 전해철 홍익표 박남춘 박범계 의원 등 모두 10명이다.
열람위원은 국회에서 국가기록원에 제출할 보안각서와 운영위 요구 보안서약을 작성한 뒤 경기도 성남에 소재한 국가기록원으로 이동한다. NLL과 NLL의 한글 표기인 북방한계선, 남북정상회담, 등거리·등면적, 군사경계선, 남북국방장관회담, 장성급회담 등 여야가 합의한 7개 키워드로 검색해 뽑아낸 문서를 검토하고 그 가운데 실제 열람할 목록을 선별하게 된다.
목록을 결정하면 국가기록원은 이르면 이날 2부씩 사본을 국회로 보내고 위원들은 국회 운영위 소회의실에서 문서를 살펴본다. 열람시간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저녁 6시까지며, 문서 열람 시 휴대전화 등 전자기기를 가져갈 수 없다. 메모는 허용된다. 위원들은 문서가 국회에 도착한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열람을 마치되 더 필요할 경우 여야 합의로 기간을 연장키로 했다. 대통령기록물 관리법상 기록물 내용을 공개하면 처벌받기 때문에 열람위원들은 국회의원 면책특권을 이용해 운영위에 보고하는 형식으로 최소 범위에서 자연스럽게 언론에 공개하기로 했다.
◇대화록 해석 등 놓고 충돌 예상=대화록의 어떤 내용을 공개할지부터 이에 관한 해석까지 양측의 충돌은 불가피해 보인다. 새누리당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서해 NLL을 포기했다는 점을, 민주당은 NLL 주변의 빈번한 분쟁을 종식하려던 노력을 부각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민주당 윤호중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노 전 대통령이 NLL을 포기했다는 국가정보원과 새누리당 일각의 주장은 허위·날조”라며 정상회담 당시 북측에 전달하고 이후 남북국방정상회담에서 사용됐다는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지도를 공개했다. 그는 “지도를 보면 공동어로구역이 NLL 기준으로 남북 등거리로 돼 있고 북한령인 장산곶까지 확대된다”고 주장했다. 앞서 새누리당 정문헌 의원과 국정원은 “노 전 대통령이 NLL과 북한 주장 해상경계선 사이에 공동어로구역을 만들어 우리 군대가 철수하면 북한 함선이 남한령인 덕적도까지 침범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윤 원내수석부대표는 “NLL 등거리·등면적으로 공동어로수역을 만들자고 했어도 실제 노 전 대통령이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어떻게 표명했느냐가 중요하다”며 “국정원이 공개한 대화록에는 ‘등거리 공동어로구역’이 한 글자도 안 나온다”고 말했다.
백민정 김현길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