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계 북한선교·통일운동 전문화된다
입력 2013-07-14 17:55
교계의 북한선교 및 통일운동 양상이 조직·전문화하고 있다. 그동안 주를 이뤘던 집회나 시위 방식 등의 활동이 정책 제안과 연대 활동 등으로 방향을 트는 분위기다. 급변하는 국제정세와 더불어 북한정권의 급작스런 변화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제기되면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오는 9월 2일 한국교회100주년기념관에서는 ‘북한인권한국교회연합(북교연)’이라는 새로운 단체가 설립될 예정이다. 그동안 시민단체나 기독시민운동가 등을 중심으로 펼쳐오던 북한인권개선 활동의 중심에 지역교회들이 전면에 나서는 것.
실무를 총괄하고 있는 서경석(한국시민단체협의회 대표) 목사는 지난 12일 서울 정동제일교회(송기성 목사)에서 열린 ‘제1회 북한인권을 위한 조찬기도회’에서 단체를 조직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지난날 한국교회가 남한의 민주화를 위해 크게 공헌했던 것처럼 이제 북한의 민주화를 위해 기여할 때”라며 “북교연은 북한 인권과 민주화 운동을 대규모 전국민 운동으로 펼치기 위한 조직”이라고 말했다.
향후 북교연은 시·군·구 단위의 지부조직 설립, 북한인권법 제정, 중국에 대한 탈북난민 북송중단 요구 활동 등을 펼칠 계획이다. 북교연의 주요 창립 발기인으로는 한국교회의 대표적 보수 인사로 꼽히는 이종윤(서울교회 원로), 이수영(새문안교회) 목사 등이 참여하고 있다. 이미 서울 지역 10여개 구별로 목사를 중심으로 한 준비위원이 선정된 상태다.
지난달 말에는 또 다른 성격의 기독 통일운동 모임이 탄생했다. 서울 흑석동 중앙대 법학관에서 열린 ‘통일환경정책포럼’ 발기인 대회에는 목사와 대학교수, NGO활동가, 법조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북한선교 및 통일운동에 관심을 가진 이들이 모여들었다.
㈔민족통일에스라운동협의회 산하 조직으로 꾸려지는 포럼에는 김병로(서울대) 교수와 허문영 평화한국 대표 등 대표적인 기독교 통일운동 전략가들이 참여한다.
김 교수는 향후 포럼의 핵심 활동으로 ‘북한의 변화와 협력에 필요한 전략 분석’을 꼽았다. 그는 이를 위해 “남북 관계의 전망에 대한 이해와 한국의 대북 정책에 대한 제안, 이념논쟁을 넘어서는 통합전략과 북한의 종교와 기독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정책연구를 비롯해 순수 북한말로 된 통일성경 발간, 매월 첫째 주 수요일에 드리는 ‘통일예배’ 등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했다.
포럼은 향후 정기적으로 정책연구·발표 모임을 가질 예정이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