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와이파이, 시장·주민센터 중심 확대 2017년까지 1만2000개 설치

입력 2013-07-12 19:29


정부가 서민층의 데이터요금 감면을 위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공공 와이파이(무선인터넷)를 2017년까지 1만2000개 설치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015년까지 공공 와이파이 6000개소를 신축하고, 통신사들이 이미 구축한 와이파이망도 2017년까지 4000개 개방하는 등 모두 1만2000개(지난해 개방한 2000개 포함)의 공공 와이파이를 구축하기로 했다고 12일 밝혔다. 이중 1020개는 오는 15일부터 개방된다.

공공 와이파이는 서민층의 통신 요금 경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의 보급으로 데이터 사용량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지만 통신요금 부담이 커 저소득층은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통신사가 운영하는 와이파이는 53%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어 문제로 지적돼 왔다.

이에 따라 미래부는 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주민센터, 보건소, 전통시장 등을 중심으로 공공 와이파이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런 곳들은 통신사들이 수익성이 없다고 판단해 와이파이 설치를 꺼려 왔다. 설치 비용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절반을 부담하고 통신사가 나머지를 내도록 했다.

또 지난해 2000개 개방한 바 있는 이통사의 와이파이도 도서관, 박물관 등 공공장소를 중심으로 4000개를 추가로 개방하도록 했다.

미래부는 국민들이 공공 와이파이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내년까지 공공 와이파이 설치장소를 안내하는 광고판을 설치할 예정이다.

미래부 박윤현 인터넷정책관은 “공공 와이파이 확산 정책이 지역·계층간 정보격차 해소와 서민의 통신요금 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