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제5차 전략경제대화… 해킹·인권·북핵 사안마다 이견 노출

입력 2013-07-11 19:02 수정 2013-07-11 19:18

미국과 중국은 10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제5차 전략경제대화에서 사이버해킹과 인권, 영토, 북핵 문제 등 다양한 주제를 놓고 논의했으나 이견만 노출했다. 미 언론은 양측이 서로 이견만 확인한 말의 성찬뿐이라면서 성과라면 탄소배출을 줄이는데 협력하기로 합의한 점이라고 지적했다.

11일까지 열리는 전략경제대화는 당초 중앙정보국(CIA)요원이었던 에드워드 스노든 사태로 중국의 대대적인 반격이 예상됐다. 그러나 미국은 이에 굴하지 않고 사이버해킹 문제 등을 집중 거론했다.

조 바이든 부통령은 중국의 사이버 해킹 종식을 촉구했다. 그는 “양국은 안전하고 믿을만한 인터넷으로 이익을 공유할 수 있다”며 “미국 기업이 겪고 있는 노골적인 사이버 해킹은 한 국가만의 문제도 아니고 반드시 종식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부통령은 사이버 해킹 외에도 티베트에서 벌어지는 무자비한 시위진압에 대한 인권문제를 제기하고 우려를 표시했다. 또 이웃 국가와의 영토분쟁도 거론했다. 북핵문제와 관련해서는 “북한의 핵개발 억지를 위해 중국과 협조를 강화한다는 것이 확고한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에 맞서 양제츠 외교담당 국무위원은 “중국은 인권문제에 대해서 논의할 준비가 돼 있다”며 “다만 평등과 상호존중의 기반에서 논의돼야 한다”고 맞받았다.

눈에 띄는 합의가 없는 상황에서 양국은 오는 10월까지 양국이 화물차를 포함해 자동차, 공장, 화력발전소 등 주요 탄소배출원으로부터 온실가스 방출을 줄이기 위한 5가지 조치를 마련키로 합의했다.

로이터통신은 11일 대화에서는 중국의 경제개혁 계획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요구하는 미국의 입장이 전달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존 케리 국무장관은 이날 개막식에서 “천리길도 한걸음부터 시작한다”는 중국 고사를 인용하기도 했다.

중국을 몰아붙인 바이든 부통령은 개막식에서는 지난 2011년 베이징 방문 당시 시진핑(習近平) 부주석을 만난 일화를 꺼내며 “시 주석의 승진을 축하하면서 나도 좀 도와줄 수 있느냐고 말했다”고 농담하기도 했다. 이는 차기 대권 도전에 대한 마음을 드러낸 것이다.

이에 왕양 부총리는 미·중 관계를 부부에 비유하며 “둘 사이에 말다툼도 있을 수 있고 이견도 생기겠지만 루퍼트 머독과 웬디처럼 이혼할 수 없을 것”이라며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을 강조했다.

이제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