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테러·핵 공격·지진 등 대비… 금융권 백업전용 지하벙커 만든다
입력 2013-07-11 18:49
테러, 핵 공격, 지진 등에도 견딜 수 있는 금융권 공동 지하벙커가 만들어진다. 벙커에는 주요 금융정보를 보관한다.
금융위원회는 11일 금융권 공동 백업전용센터 구축을 포함한 금융전산 보안 강화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최근 해킹에 따른 금융전산망 마비 등 보안 관련 사고가 여러 금융회사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반복되자 취한 조치다. 금융권 공동 백업전용센터는 금융회사가 별도로 운영하는 재해복구센터 외에 지진 같은 대규모 자연재해나 테러 등에 대비하기 위한 방안이다.
기존 재해복구센터는 전산 담당자가 상주하면서 각 금융회사의 주 전산센터에 문제가 생겼을 때 복구 작업에 들어간다. 하지만 주 전산센터의 정보가 사이버공격을 받아 파괴되면 재해복구센터의 정보도 동시에 삭제돼 업무중단이 불가피하다. 재해복구센터는 주 전산센터와 가까운 지역이나 지상 건물에 있어 재난·재해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지 않다.
각사 재해복구센터와 별개로 금융거래 정보를 보관하는 금융권 공동 백업전용센터는 수도권에서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곳에 지하벙커 형태로 구축된다. 해외에서는 미국과 이스라엘이 폐광 등을 활용해 백업센터를 운영 중이다. 백업전용센터는 내년 이후 은행권에서 먼저 구축한다.
금융위는 또 금융보안 관리체계 인증제도를 도입하고 금융회사의 내부 업무망과 인터넷망을 의무적으로 분리토록 했다. 카드사에서 운영 중인 이상거래 탐지시스템을 은행·증권 등으로 확대하고, 이상거래 정보를 금융권이 공유하도록 했다.
금융회사가 안전조치 의무를 위반하면 최장 6개월까지 업무정지 조치를 받도록 했다. 전산사고 빈발 회사는 집중 관리한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