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다 무산?… 원세훈 구속에 증인출석 불투명 답답한 국정원 국조특위
입력 2013-07-11 18:10 수정 2013-07-11 22:06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사건 국정조사특별위원회의 파행이 장기화될 조짐이다. 여야가 특위 위원 교체를 놓고 한 발짝도 물러나지 않는 데다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개인비리 혐의로 구속되면서 증인 출석 여부도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다.
새누리당 최경환, 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는 11일 국회에서 양당 원내수석부대표가 참석하는 ‘2+2 회담’을 갖고 국정원 국정조사 정상화 문제 등을 논의했다. 그러나 새누리당이 강력히 요구하는 민주당 김현 진선미 의원의 특위 위원 사퇴 문제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전 원내대표는 “김·진 의원에 대한 사퇴 요구가 부당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하지만 최 원내대표는 “나도 우리 당 의원들 설득이 안 된다. 사퇴 거부를 새누리당이 수용하면 대신 사퇴하겠다고 버티는 의원들까지 있다”며 난색을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정성호 원내수석부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주말까지는 성과가 있을 것 같지 않다”고 말했다. 국정조사는 지난 2일부터 다음달 15일까지 45일간 실시되는데 열흘이 지나는 동안 전체회의가 한번만 열렸을 뿐 제대로 된 조사는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다음 주 이후도 전망이 밝지 않다. 특위 위원 교체 문제가 해결된다고 해도 증인 채택을 둘러싼 힘겨운 줄다리기가 예상된다. 민주당은 이명박 전 대통령과 현직 청와대 관계자 등 113명을 증인·참고인 후보 목록에 올려놨다. 새누리당도 전현직 민주당 의원 11명 등 100명 가까운 증인·참고인 후보를 뽑아놓은 상황이다.
이와 함께 여야 원내대표는 이날 회담에서 오는 15일쯤 국가기록원에서 2007년 2차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관련 자료가 도착하면 국회에서 10일간 자료를 열람하고 필요 시 기간을 연장키로 합의했다.
새누리당과 민주당은 또 12일 경기도 성남에 있는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을 방문해 대화록의 핵심 부분을 추려내기 위한 예비 열람을 실시한다. 새누리당은 황진하 심윤조 김진태 김성찬 조명철 의원을, 민주당은 우윤근 홍익표 전해철 박범계 박남춘 의원을 열람위원으로 각각 선정했다.
엄기영 김아진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