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당-김진홍] 남북 이산가족의 날

입력 2013-07-11 19:11 수정 2013-07-11 22:09

남북 이산가족 첫 상봉은 1985년에 이뤄졌다. 1971년 판문점 중립국 감독위에서 이산가족 찾기 운동을 위한 남북적십자 회담이 처음 열린 이래 14년이나 걸렸다. 그해 9월 20일부터 나흘간 남측 25명, 북측 30명이 각각 평양과 서울을 방문해 가족이나 친척들을 부둥켜안고 가슴속 응어리를 풀었다. 그러나 북측이 한·미 군사훈련 등의 핑계를 들이대는 바람에 이산가족 상봉은 이어지지 못했다.

돌파구는 15년 뒤인 2000년 당시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간의 6·15 공동선언을 통해 마련됐다. 두 정상이 이산가족 등 인도적 문제를 조속히 풀어나가기로 합의함에 따라 같은 해 8월 15일부터 18일까지 서울과 평양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열렸다. 그 이후 2010년까지 18차례의 대면상봉이 이뤄졌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는 거동이 불편한 고령의 이산가족들을 위해 7차례의 화상상봉도 실시됐다.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가 공동운영하는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등록된 상봉 신청자는 12만8800여명이다. 이 가운데 5만5300여명은 숨졌다. 살아 있는 7만3500여명은 대부분 고령자다. 일회성 만남이지만, 3년 가까이 중단된 이산가족 상봉이 조속히 재개돼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냉전시대의 산물인 이산가족 문제는 인도적 사안이다. 군사·안보 분야의 대치와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만남을 추진하는 게 마땅하다. 하지만 북측은 이번에도 기대를 무너뜨렸다. 북측이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별도의 실무접촉을 제의한 데 대해 정부가 이산가족 상봉 실무접촉만 수용하자 이에 반발해 두 접촉 모두 ‘보류한다’고 통보했다. 참으로 무모한 집단이다. 이산가족들의 심정은 매우 착잡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8월 12일인 이산가족의 날을 정부기념일로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듯하다. 이산가족은 자신들의 문제를 처음 다룬 남북적십자 회담 개최일을 이산가족의 날로 정해 1982년부터 해마다 기념식을 갖고 흩어진 가족의 생사 및 소재 확인을 촉구하고 있다. 2011년부터는 혹서기를 피해 9월에 이산가족의 날 행사를 치른다. 때마침 새누리당 이학재 의원이 매년 추석 이틀 전날을 이산가족의 날로 정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기념행사를 개최하자는 내용의 ‘남북 이산가족 생사확인 및 교류촉진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이 법안이 조속히 통과돼 올해부터 정부기념일로 거행되면 국민적 관심도 높아지고 두루두루 좋지 않을까 싶다.

김진홍 논설위원 j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