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지향적인 분위기돼야 한·일 정상회담 개최” 朴, 언론사 논설실장 오찬

입력 2013-07-10 19:14 수정 2013-07-10 15:30


박근혜(사진) 대통령은 10일 “안 하니만 못한 결과가 (나오게) 되면 모두가 힘 빠지는 일”이라며 당분간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한·일 정상회담을 할 계획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북한을 향해서는 “말조심을 해야 한다. 대한민국 국민에게도 존엄이 있다”고 경고했다.

박 대통령은 26개 중앙언론사 논설실장·해설위원실장과의 오찬에서 한·일 정상회담 필요성에 대한 질문을 받자 “지금도 일본은 계속 독도와 위안부 문제로 우리 국민들의 상처를 건드리고 있다”면서 “(정상회담이 가능한) 환경을 만드는 노력을 더 할 필요가 있다”며 일본 정부의 역사왜곡 중단을 강력 촉구했다.

박 대통령은 “미래지향적으로 가겠다는 분위기 속에서 (정상회담을) 해야지, 정상회담을 위한 정상회담을 해서 끝나자마자 또 독도·위안부 문제가 불거지면 무슨 도움이 되겠느냐. (지금 상황에서 정상회담을 하면) (한·일) 관계가 더 악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 문제를 언급하며 “신뢰를 쌓기 위해선 우선 말을 조심해야 한다. 북한이 존엄이 어떻고 하면서 우리가 옮기기도 힘든 말을 하는데, 존엄은 그쪽만 있는 게 아니라 대한민국 국민한테도 있다”고 말했다. 개성공단 재가동 문제에는 “이렇게 안정적이지 않은, 기본적인 것조차 보장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재가동만 서둘러선 안 된다”며 신중한 입장을 피력했다.

국민일보의 독일기획 시리즈와 관련해선 “독일은 산·학·연이 잘 돌아가면서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면 빠른 속도로 산업 전체로 이전돼 중소기업들이 경쟁력을 갖고 발전한다”면서 “노사관계도 굉장히 모범적인데 이런 것들은 많은 교훈이 된다”고 언급했다.

박 대통령은 또 “역사를 제대로 배우지 않고 자란 사람은 혼(魂)이 없는 사람”이라면서 “중요한 (국사)과목이 대입수능시험에 딱 들어가면 (역사 교육 논란은) 깨끗하게 끝나는 일이다. (관련 부처와) 논의를 해서 대입 평가기준에 들어가도록 하려 한다”고 말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