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을 넘어 미래한국으로] 마파엘 대사, “獨 통일 핵심 포인트는 국민이 결정 했다는 것”

입력 2013-07-10 19:03 수정 2013-07-10 19:10


롤프 마파엘(사진) 주한독일 대사는 10일 “독일 통일의 가장 큰 포인트는 국민이 결정을 했다는 점이다. 동독 시민들이 ‘우리는 한민족’이라며 거리로 나오지 않았다면 통일은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마파엘 대사는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야당 독일공부모임 ‘혁신과 정의의 나라’ 포럼에서 “당시 동독 주민의 요구로 단시일 내 통일을 하지 않으면 대량 난민사태가 우려됐고 소련이 국경을 폐쇄할지도 모른다는 압박감이 있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마파엘 대사는 ‘통일을 두려워하지 말라’라는 주제 강연을 통해 “북한 비핵화 논란 등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평화를 위한 주변국에 대한 신뢰 정책이 중요하다”며 한반도 통일에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그는 콘라드 아데나워 전 총리의 ‘친서방정책’뿐 아니라 1969∼89년 20년간 추진된 빌리 브란트 전 총리와 발터 쉘 전 대통령의 ‘동방정책’을 통한 동·서독 접촉과 교류를 독일 통일의 성공요인으로 꼽았다.

마파엘 대사는 “남북한은 소유권, 사회보장, 화폐통합 등의 비용은 줄이면서 대량 탈북사태를 막는 방식으로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독일은 사회복지 제도가 그대로 통합되면서 통일 전체 비용 1조6000억 유로 가운데 1조 유로가 여기에 들어갔다. 독일보다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다면 비용을 훨씬 줄이는 통일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경제적으로 통일되고 20년이 지나니깐 그동안 쏟아부은 비용보다 받은 이익이 더 크다는 결론이 나왔다. 하지만 국민들의 마음속 내적 통일은 그보다 더 오래 걸린 것 같다. 한반도는 40년간 분단된 국가이니, 그만큼 내적 통일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포럼 대표인 민주당 원혜영 의원도 인사말을 통해 “독일은 통일 이후 혼란과 후유증도 있었지만 국민이 혼연일체가 돼 슬기롭게 극복했다. 이젠 통일이 독일 축복의 근원이 됐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경험은 우리 입장에서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미리 공부하는 좋은 나침반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