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 유통 4단계로 축소해 유통비 줄인다

입력 2013-07-10 18:02

수산물 유통경로가 6단계에서 4단계로 대폭 줄어들고 수산물 위생관리가 강화된다.

해양수산부는 10일 이 같은 내용의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대책에 따르면 현재 ‘생산자→산지 위판장→산지 중도매인→소비지 도매시장→소비지 중도매인→소매상→소비자’ 등 6단계의 연근해산 수산물 유통구조를 4단계로 줄이기로 했다.

4단계 ‘생산자→산지거점유통센터(FPC)→소비지분산물류센터→분산도매물류→소비자’ 유통구조가 되면 유통비용이 대폭 절감된다.

해수부 관계자는 “연근해산 수산물은 대부분 산지 위판장에서 경매된 이후 소비지 도매시장에서 다시 경매되는 2중 구조”라며 “유통경로가 6단계에 이를 정도로 복잡하고 유통비용이 많이 든다”고 지적했다.

4단계 유통경로 구축을 위해 해수부는 현재 3곳뿐인 산지거점유통센터를 계속 확대하고 2016년부터 수협공판장 1곳을 소비지 분산물류센터로 전환해 시범 운영할 방침이다. 해수부는 또 도매시장 거래가 경매 위주로 이뤄져 가격 변동폭이 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매시장의 정가·수의매매를 확대하기로 했다.

도매시장 시설 현대화 사업을 추진해 서울 노량진수산시장을 관광과 외식산업을 연계한 수산물 복합공간단지로 조성하고 부산공동어시장을 인근 자갈치 시장과 묶어 다기능 수산시장으로 조성키로 했다.

‘위생이 좋지 않다’는 지적을 받은 수산물 판매·가공 시설의 위생관리를 강화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해수부는 수산물 산지 위판장을 위생수준별로 등급화해 관리하는 위판장 품질위생관리인증제를 도입하고 전국의 산지 수협별 거점위판장을 점차 품질위생관리형 위판장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어종별 수산물 온도관리 기준을 세우고 냉장·냉동시설과 냉동탑차 등 깨끗한 보관·운송수단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세울 방침이다.

아울러 수산물 가격 안정화를 위해 정부 비축 물량을 확대키로 했다. 해수부는 고등어 등 대중성 어종의 정부 비축 물량을 현재 1만4000t에서 2017년까지 2만8000t 수준으로 확대하고 물가 불안시기에 전통시장 등에 직접 비축 물량을 방출하기로 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