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문화전당 완공 1년 넘었는데도 ‘텅텅’

입력 2013-07-09 19:47


465억원 들여 지은 한국전통문화전당이 완공된 지 1년이 넘었는데도 텅텅 비어있다. 내부 시설 운용 계획이 차질을 빚으면서 개관일은 계속 늦어지고 있다.

9일 전주시에 따르면 지난해 6월 완공된 한국전통문화전당의 개관이 내년 초에나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전당은 전주시 경원동 옛 전북도청 2청사 부지 1만9000여㎡에 2010년 착공돼 지하 1층·지상 5층 규모 2개 동으로 지어졌다. 그러나 연면적이 1만7000㎡나 되는 곳에 공연장을 빼고는 연관 시설이나 입주한 업체·공방은 한 곳도 없다. 이에 전통문화전당이 ‘한스타일 산업’을 선도하는 전진기지가 될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뜨거운 감자’가 됐다는 눈총만 따가운 실정이다.

전주시는 전당 안에 시내면세점을 유치키로 하고 그동안 노력했으나 실패했다. 한 지역기업이 면세점 개점을 추진하다 무산된 뒤 시는 결국 관련 계획을 없던 일로 했다.

시는 지난 3월 전당 안에 한스타일 전시관과 유네스코음식창의도시홍보관, 미니컨벤션 등을 설치키로 확정했다. 그러나 아직 사무국도 꾸리지 못한 상태다. 다만 4층에 전통문화창조센터 입주만이 결정됐다.

특히 시는 이 과정에서 ‘전통문화’와는 상관없는 정당과 임의단체에 시설을 임대해줘 설립 취지와 정체성에 맞느냐는 논란마저 일고 있다. 시는 9일 민주당 전북도당에 공연장을 무료로 빌려줬다. 민주당 전북도당은 이날 이 곳에서 김한길 대표를 비롯해 국회의원들과 민주당원 등 500여명이 참석한 행사를 가졌다.

앞서 시는 1층 사무실 서너 칸을 ‘완주·전주 상생통합추진협의회’에 임대해 줬다. 협의회는 지난 3월 입주했으나 통합이 무산된 이후 최근 방을 비웠다.

연간 15억원쯤으로 예상되는 운영 예산 확보도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시설 임대는 물론 뚜렷한 수익사업이 마련되지 못해 결국 세금을 쏟아 부어야 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시 관계자는 “시내면세점 등의 변수로 인해 계획보다 개관이 늦어졌다. 내부 콘텐츠를 알차게 구성하고 임대와 체험 등의 운영을 활성화해 예산 부담을 줄여나가겠다”고 말했다.

전주=글·사진 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