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선 복선전철’ 좌초 위기… 지역민 반발
입력 2013-07-08 21:41
충남지역 최대 현안이자 박근혜 대통령 공약사업인 홍성군과 경기 화성시 송산을 잇는 ‘서해선 복선전철사업’이 상당기간 지연될 전망이어서 지역 주민들이 반발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8일 충남도와 아산시에 따르면 총연장 89.2㎞의 서해선 복선전철은 사업비 3조9284억원(순수 공사비 1조9087억원)을 들여 2018년까지 준공할 예정이었다. 충남 홍성군∼예산군∼당진군∼아산시∼경기도 평택시∼화성시 등을 잇는 노선이다. 합덕, 인주, 안중, 향남, 화성시청, 송산 등 정거장 6개와 송산차량기지 1개를 설치하는 게 핵심 골자다. 하지만 감사원은 최근 국토교통부 국책사업에 대한 감사를 한 결과, 서해선 복선전철 건설공사의 지연 및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서해선 복선전철과 연결되는 신안산선 전철사업이 지연되고 있다는 게 이유다.
정부는 대규모 SOC사업 상당수에 민간자본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신안산선 사업도 민자사업으로 결정해 사업 시행이 지연되고 있다. 감사원의 이런 의견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충남도와 복선전철의 최대 수혜자인 아산시에 사업시기를 조정하는 것을 골자로 한 공문을 전달했다. 하지만 이 사업이 연기되거나 축소될 경우 물류비용 절감 등 지역개발도 덩달아 늦어질 게 불 보듯 뻔해 국회와 해당 지자체의 반발이 예상된다.
아산시는 지역구의 이명수(새누리당) 의원에게 이와 관련한 내용을 전달, 사업이 조기 착공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했다. 이 의원 측은 “국토부에서 감사원으로부터 SOC사업 감사과정에서 서해선 복선전철 사업의 시기조정을 권고받은 사실을 확인했고, 사업이 지연될 것 같다는 답변을 들었다”며 “지연이나 축소되지 않도록 방안을 강구 중이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앞으로 정치권 등과 공조체제를 강화해 대선 과정에서의 약속이 정부정책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정부와 적극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서해선 전철이 운행되면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시속 230㎞급 급행 전동차를 통해 홍성에서 송산까지 28분 만에 도달할 수 있고, 이용객도 하루 2만4000여명으로 예상됐다.
아산=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