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공정한 사회서 통합 불가능… 법치 확고히 서야” 朴 대통령 대통합위 첫 회의 주재

입력 2013-07-08 18:10 수정 2013-07-08 22:22

박근혜 대통령은 8일 대통령 직속 국민대통합위원회 첫 회의에서 “사회가 부패하고 공정하지 못하면 통합이 될 수 없다. 법치가 확고하게 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역사 교육도 보편적인 역사적 사실을 제대로 배움으로써 그것이 갈등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한광옥 위원장을 비롯한 민간위원 18명에게 위촉장을 수여한 뒤 회의를 주재하면서 “갈등 문제를 풀 때 중요한 것은 상대방에 대한 존중심, 그리고 관심과 배려”라며 “이런 가치가 실현되려면 법치가 확립되고 양형 기준도 형평성이 있어야 한다. 유전무죄 무전유죄(有錢無罪 無錢有罪) 이런 이야기가 있는 한 갈등은 풀릴 수 없는 사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대통합의 문화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국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며 특히 다양한 시민단체 간 협업 방안을 찾아 달라고 당부했다. 또 “기성세대에서 끝내야 할 분열과 갈등이 다음 세대까지 대물림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최근 사이버 공간을 살펴보면 문제가 상당히 심각하다”며 “함께 사는 법을 가르치고 통합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교육 방안에 대해서도 고민해 달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국민통합은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한 기본토양이다. 새 정부의 국정목표인 국민행복시대도 국민통합이 토대가 되지 않고서는 열어가기 어려울 것”이라며 “국민대통합위가 국민 속으로 들어가 따뜻한 친구가 돼 달라”고 부탁했다. 그러면서 그는 “정부도 시장과 효율성만을 강조하는 정책에서 벗어나서 상생과 공정성의 가치를 조화시켜 나가고 해묵은 지역갈등이 국가 발전의 동력을 해치는 일이 없도록 지역 균형발전에도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대통합위는 사회갈등 극복과 역사와의 화해, 국민적 통합가치 창출 및 실천, 공존·협력·소통의 통합문화 정착 등 3대 운영목표를 보고했다. 한 위원장은 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한국적인 국가공론모델을 개발하고 집단지성을 활용한 국민대토론회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활용한 국민 참여 및 국민 소통을 활성화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유성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