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NLL 수호’ 천명, 野 압박

입력 2013-07-08 18:03

박근혜 대통령은 8일 최근 정국을 뜨겁게 달군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논란과 관련해 ‘정치권 차원의 NLL 수호 의지 천명’과 ‘논쟁 종식’을 주문했다. 소모적인 NLL 정쟁의 출구전략을 제시하는 동시에 야당을 압박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NLL은, 만약에 이것을 북한에 넘겨주게 되면 우리 국민의 안위를 지키기 어렵고 이곳이 뚫리게 되면 우리는 순식간에 영토를 뺏길 수 있다”며 “그래서 우리 젊은이들이 목숨을 걸고 지켜온 생명선”이라고 규정했다. 이어 “그런 점에서 NLL은 우리 국토를 지키는 중요한 선으로 이 문제가 논란이 되고 제기된 것 자체가 유감”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여야가 공동선언 등으로 NLL 수호 의지를 천명하고 더 이상 과거 문제로 논쟁하고 분열하지 말자고 촉구했다. 박 대통령의 발언은 새누리당이 구상 중인 NLL 출구전략과도 맞아떨어진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지난 1일 NLL 수호 공동선언 발표를 민주당에 제안했고,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국가기록원 대화록을 열람한 뒤 NLL 공동보고서를 채택해 출구전략을 만드는 게 낫다”고 말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박 대통령의 제안을 ‘국가정보원 국정조사 물타기’ 또는 ‘대야 공세’로 받아들였다. NLL 관련 발언이 담긴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사전 유출 의혹,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명예훼손 등을 그냥 묻고 가자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 김관영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대선총괄본부장이었던 김무성 의원, 상황실장이었던 권영세 현 주중 대사는 대화록 유출 의혹과 관련해 침묵으로 여전히 일관하고 있다”면서 “박 대통령은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를 통해서가 아니라 국민들 앞에서 (국정원 문제를) 직접 사과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는 민주당 임내현 의원이 전날 광주에서 국정원의 대선·정치 개입 의혹과 관련해 “상응하는 조처가 없다면 선거 원천무효 투쟁이 제기될 수 있다”고 한 것에 불쾌감을 표시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그런 발언은 국민들에 대한 예의, 기본적인 예의가 아니다. 자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심재철 최고위원도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이 대선 원천무효 투쟁 운운하는 ‘자해공갈단’ 같은 협박까지 하고 있다”며 “대선 원천무효 투쟁 운운은 민주당 기반 붕괴를 촉구하는 동력이 될 것”이라고 비난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