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일부 공직자 ‘甲행세’에 시민들 뿔났다

입력 2013-07-08 17:45

대구시 일부 공직자들의 공공기관 낙하산 인사와 자녀 특혜 채용 논란 등이 불거지면서 ‘대구 공직자들이 갑(甲)’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연이은 공직자들의 비행(非行)이 서민들에게 위화감을 조성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8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대구지역 공기업인 대구도시공사 전무에 전 대구시 건설방재국장이, 대구시설관리공단 전무이사에 전 대구시 전국체육대회기획단장이 임명됐다.

또 지난해 6월 임명된 대구도시철도공사 사장은 시에서 30여년 간 근무했으며 대구시설관리공단 이사장도 시의회 사무처장 출신이다. 이들은 모두 현재 60∼61세로 퇴직을 앞둔 시점에서 모두 공기업으로 옮겼다.

이처럼 대구 4개 공사·공단과 대구도시철도공사의 전무와 사장·이사장 등 임원자리 9개 중 6자리를 대구시 퇴직간부들이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대구 공기업들의 경영성적은 형편없다. 지난해 대구 공기업들의 총 적자규모는 1196억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서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국립대구과학관 채용 특혜 의혹도 서민들을 힘 빠지게 만들었다.

민주당 대구시당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실시한 채용에서 합격자 24명 중 15명이 전·현직 공무원과 공무원·공공기관 직원 자녀, 언론인 가족이었다. 특히 현직 공무원·공공기관 직원 자녀는 원급(최하 직급) 합격자 12명 중 7명으로 무려 60%에 달했고 대구시의 대구과학관 담당 부서인 신기술산업국 부서장들의 자녀들도 포함돼 있다.

채용 과정은 더 문제다. 입사원서에 아버지 이름과 직업·직급까지 기재하도록 해 공무원 자녀들에게 특혜를 줬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이에 대구시는 물론 미래창조과학부, 경찰까지 나서 대구과학관 채용 의혹을 조사하고 있다.

대구참여연대 박인규 사무처장은 “대구에서 특정 당이 장기 집권하면서 공직사회를 견제할 세력이 없어져 공직사회가 폐쇄화, 특권화됐다”면서 “자신들이 특권층이라는 인식에 아무런 거리낌 없이 갑 행세를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