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금남로 민주평화광장’ 조성 오락가락

입력 2013-07-07 19:32

광주 금남로에 추진 중인 민주평화광장 조성사업이 오락가락하고 있다.

광주시는 7일 “지난해 6월 민선 5기 ‘광주희망 프로젝트 10대 사업’의 하나로 발표했다가 대통령 공약으로 채택된 민주평화광장 조성사업에 대한 개발계획 용역을 외부기관에 맡겼다”고 밝혔다.

시는 당초 광주의 최대 번화가인 금남로 6개 차선 가운데 중앙부 4개 차선 518m에 잔디를 깔고 ‘차 없는 거리’로 만들기로 했다. 518m는 1980년 광주5·18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것으로 당시 시민군이 본부로 사용하던 옛 전남도청과 금남로4가 가톨릭센터 사이의 직선거리다.

시는 당분간 인도와 맞닿은 금남로 양쪽 1개 차로에 대중교통인 시내버스와 택시 운행만 허용한 뒤 장기적으로 차량출입을 전면 통제하겠다고 설명했었다. 광주의 심장부인 금남로 한복판에서 시민들이 휴식과 함께 다양한 문화공연을 즐기도록 하겠다는 구상이었다.

그런데 예상하지 못한 걸림돌이 시민공청회 과정에서 등장했다. 상습적 교통체증과 상권침체를 우려하는 반대여론이 확산된 것이다. 시는 마지못해 시민 1만여 명의 이름과 희망 메시지를 일일이 새긴 ‘박석(薄石·얇은 돌) 마당’으로 잔디광장 계획을 변경했다. 금남로에 드넓은 잔디를 까는 대신 한정된 면적에 실개천이 흐르도록 하겠다는 계획도 덧붙였다.

하지만 금남로 지하상가에 물이 새고 도로가 붕괴될 우려가 높다며 인근 상인들이 백지화를 요구해 이마저 추진이 어렵게 됐다. 결국 시는 대통령 공약사업 채택을 명분으로 최근 1억5500만원의 예산을 들여 민주평화광장 개발계획에 대한 용역을 외부기관에 의뢰했다. 시는 용역과제에 박석마당 조성과 금남로 지하상가∼국립아시아문화전당 간 지하통로 개설, 옛 전남도청 앞 분수대 물길조성 등이 포함되도록 했다.

시는 이 과정에서 민주평화광장 사업의 주관부서를 환경생태국에서 건설교통국으로 바꿨다가 다시 종합건설본부에 이어 인권담당관실로 3차례나 변경하는 혼선을 빚기도 했다.

시 관계자는 “9월까지 용역을 마무리한 뒤 연말까지는 최종 조성계획을 확정하겠다”며 “대통령 공약으로 채택돼 전문기관에 새로 개발계획 용역을 발주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