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양적완화 9월 종료 가능성
입력 2013-07-07 18:41
미국이 오는 9월부터 양적완화 출구전략을 시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당초 연말쯤으로 예상했던 ‘출구전략 시간표’보다 훨씬 빠른 것이다.
미국 의회전문지 ‘더힐’은 월가 전문가들을 인용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존 예상을 깨고 경기부양책 축소 시점을 오는 9월로 앞당길 가능성이 크다고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스티븐 스탠리 피어폰트증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미국 금융시장에 양적완화 정책이 많은 위험을 끼치고 있는 것을 연준이 인식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달 미국에 19만5000개의 신규 일자리가 증가했다는 미국 노동부의 발표는 전문가들의 예상보다 3만개가량 증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기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다는 의미다.
앞서 4월과 5월 신규 취업자 수도 당초 발표됐던 것보다 늘어났다.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은 최근 고용안정 기준으로 ‘20만개의 새 일자리 증가’를 제시했다. 버냉키 의장은 이 수치가 개선되면 올해 내로 양적완화 축소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미국 고용동향을 전하면서 “버냉키 의장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이후 양적완화 축소에 대한 세부적 계획을 밝힐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파이낸셜타임스(FT) 역시 “연준이 하반기에 양적완화를 축소해도 될 정도로 미국의 고용지표가 좋았다”면서 출구전략 개시 시점을 9월로 예측했다.
그러나 미국 실물경제가 양적완화 축소를 견딜 정도로 회복됐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미국의 지난달 고용동향에 대해 “호조를 보였지만 매우 호조를 보인 것은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미국의 2분기 경제 성장률이 1분기의 1.8%보다 낮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양적완화 종료는 금융시장에 큰 충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버냉키 의장이 대략적인 출구전략 일정을 밝혔음에도 주식과 채권가치가 폭락하고 금리는 급등했다. 다만 고용이나 성장률 등 미국의 경제회복에 제동이 걸리면 연준이 양적완화를 연장할 가능성도 남아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