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사고 예방 9개 대기업 2조8000억 투자

입력 2013-07-05 19:04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9개 기업이 화학사고 예방을 위해 2015년까지 2조8000억원을 투자해 시설 개선에 나선다. 정부는 내년까지 노후 산단과 안전관리 중소 영세기업에 대해 무상 정밀안전진단과 환경시설개선 융자 등을 지원한다.

정부는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화학물질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시설 개선에 나설 9개 기업은 삼성전자, LG전자, SK하이닉스, SK이노베이션, LG화학, GS칼텍스, 현대오일뱅크, 한화케미칼, S-Oil 등이다. 이들 기업은 노후·취약시설을 개선하고 환경안전시설을 강화하는 한편 소방시설 확충, 유독가스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구축하기로 했다. 환경안전 및 화학물질 안전관리 분야 전담 조직과 인력도 늘린다.

정부는 또 그간 석유화학업계가 주로 사용해 온 누출탐지·보수시스템을 다른 업종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 시스템은 물질 누출에 취약한 밸브나 펌프 등 연결부위에 고유 인식표를 부착하고 센서를 대어 누출 여부를 감지한다. 이 시스템을 도입한 기업에서는 휘발성 유기화학물질 배출량이 평균 70% 이상 줄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연합 안전관리 공동체를 만들어 안전관리 시스템을 공유토록 하고 공동방재 협약 체결도 추진한다. 안전·환경 관련 기술인 단체 주도로 시설·공정 표준 및 관리지침도 마련한다.

화학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학 화학과 교수 등 지역 민간전문가와 함께 사고 대응 연결망을 구축, 사고 발생 직후 대응기관에 적절한 대책을 제공하도록 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정부경 기자 vicky@kmib.co.kr